![]() |
삼성생명. 사진=삼성생명 제공 |
[알파경제=김민수 기자] 삼성생명이 단기납 종신보험에 법인보험대리점(GA) 시책을 상향하며 드라이브를 걸었다.
2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지난해 12월부터 7년납 단기납 종신보험에 2차 연도(13차월) 80%를 포함해 총 시책 600%를 내걸었다.
시책은 보험사가 상품을 판매한 설계사에게 주는 영업비다. 시책이 600%면 보험상품 가입자가 내는 첫 번째 보험료의 6배를 설계사가 가져간다는 의미다.
금융 당국이 단기납 종신보험 절판 마케팅을 중지하라고 요구했던 지난해 8월 400%보다 인센티브가 200%나 높아졌고 지난해 10월(500%)과 비교해도 강화됐다.
단기납 종신보험은 5년 만기 또는 7년 만기 이후에도 10년까지 계약을 유지하면 납입한 보험료보다 30% 이상 해지환급금을 더 돌려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삼성생명은 최근 논란이 된 단기납 종신보험 환급률 경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반면 삼성생명은 환급률 경쟁 대신 시책에 드라이브를 걸며 단기납 종신보험 판매율을 높였다.
한화·교보생명 등 다른 생명보험사들 시책은 400~500% 수준이다.
현재까지 모든 채널을 통틀어 삼성생명은 단기납 종신보험을 가장 많이 판매했다.
2위는 한화생명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GA를 등에 업고 삼성생명을 맹추격 중이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6월 GA에서 235억원의 실적을 올리며 삼성생명 GA(209억원) 매출을 앞질렀다.
이에 삼성생명도 GA 시책을 강화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수익성 지표 중 하나인 보험계약마진(CSM)의 영향도 있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은 보험사의 부채를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하기 때문에 통상 저축성 보험보다 보장성 보험 판매가 실적에 더 유리하다.
영업 현장에서 단기납 종신보험이 절찬리에 판매되며 인기를 끌고 있는 탓에 일정 수준 이상의 CSM을 확보하기 위해 단기납 종신보험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알파경제 김민수 (waygo171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