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은행 '홍콩 ELS' 손실률 53%…올해 확정손실만 3121억원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4-01-28 18:53:50
상반기 손실만 6조원 안팎 전망도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지난 2021년 판매한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이 올해 확정손실만 3121억원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H지수가 지금처럼 5300선에 머물 경우 올 상반기 원금 손실액은 5~6조원 안팎으로 불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다.

28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 4개 은행에서 판매한 H지수 ELS 만기 손실액은 지난 26일까지 3121억원으로 나타났다.

3년 만기가 된 5888억원 어치 상품의 평균 확정 손실률은 무려 53%으로 반토막 난 상태다.

H지수를 기초로 한 ELS는 통상 3년 뒤 만기가 됐을 때 가입 당시보다 H지수가 65~70% 밑으로 떨어지면 하락률 만큼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다.

H지수는 지난 2021년 2월 1만2000대를 넘어섰으나, 미·중 갈등과 중국 경기 부진 여파로 최근 5300대까지 절반 넘게 떨어졌다.  

 

(사진=연합뉴스)


작년 11월 기준 H지수 ELS 총판매잔액은 19조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79.8%인 15조4000억원이 올해 만기가 도래한다.

올해 1분기 3조9000억원, 2분기 6조3000억원 등 상반기에만 절반을 웃도는 10조2000억원 규모가만기다.

단순 계산할 경우 손실률이 50% 수준이면, 5조원에 달한다. 시장에서는 올해 상반기 손실 규모가 6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H지수 ELS에 들어간 고객들은 애가 탈 수밖에 없다. 다만, 은행권이 불완전판매 등 판매사 과실이 인정될 경우 일정 부분 손실에 대한 배상이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 2019년 파생결합펀드(DLF)와 2021년 라임펀드 사태 당시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는 손실액의 40~80%를 배상하라고 금융사에 권고한 바 있다.


금융감독원. 사진= 연합뉴스

물론 은행권은 지난 DLF나 라임펀드 사태와 결이 다르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금융사와 투자자들이 자율 협의를 거쳐 보상 수준을 정하는 사적 화해 방식도 거론된다.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은 H지수 ELS 주요 판매사에 대한 현장점검을 하고, 오는 3월까지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개장] 美 FOMC 주목하며 나스닥 최고치 기록
5대 은행 주담대, 1년반 만에 뒷걸음
금감원 노조-이찬진 첫 면담서도 평행선…투쟁 지속 예고
신한금융지주 "롯데손보 인수 추진 보도 사실무근"
[마감] 코스피,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행진…3400선 턱밑 마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