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6년 만에 준공된 서울 중구 한국은행 신축 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이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률과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며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고 피력했다.
한은이 13일 공개한 ‘2023년 제10차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전원 일치’로 기준금리 동결(3.50%)을 의결하는 과정에서 이같이 한 목소리를 냈다.
A 위원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저효과와 석유류 가격 하락 등에 기인해 뚜렷한 둔화 흐름을 나타낸 반면 근원물가는 상승모멘텀은 꺾였지만 아직 서비스 물가를 중심으로 다소 경직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며 기준금리를 현행 수준에서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B의원 역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지나 둔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해도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라며 “현재의 금리 인상 기조가 누적된 금융 불균형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응하려고 시작된 점을 고려하면 아직 경계를 거두기엔 이른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동결에 표를 던진 다른 위원도 “하반기 전기·가스요금 추가 인상 등 물가 불안 요인이 상존하기 때문에 물가 안정 기조가 확실해질 때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하자”며 “가계부채 관리와 역대 최대 수준인 한미 기준금리 차이가 금융시장 불안 요인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위원도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 3%대로 낮아졌으나 근원물가 상승률은 하방경직적인 흐름을 이어가면서 소비자물가를 상회하고 있다”며 “이러한 점들을 감안해 통화정책은 상당기간 현재의 긴축적 기조를 유지하면서 물가안정과 대내외 금융안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동결을 통한 긴축 유지뿐 아니라 필요하면 추가 기준금리 인상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C 위원은 “특히 최근 근원물가 하락세가 더딘 상황에서 정책 기조에 비해 크게 완화된 금융 상황으로 인해 물가 흐름이 당초 전망 경로에서 이탈할 가능성은 없는지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물가 목표로의 수렴이 크게 지연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 추가 금리 인상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다른 위원도 “물가가 2%대로 안정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는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를 지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향후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추가적 인상 가능성도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rosa3311@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