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3년 상반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가 더 떨어지기 전에는 기준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19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면서 물가 안정에 더 집중하는 행보를 보였다.
그는 “연말 물가 상승률이 2% 목표에 충분히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으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으나 다시 3%대로 가는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며 “기준금리 인하를 논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2%대로 낮아지고 중반 이후에는 다시 높아져 등락하다가 연말경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6.3%) 정점을 찍은 이후 점차 둔화하는 추세다. 연초 5.2%에서 4개월 연속 하락해 지난 5월 3.3%까지 내려왔다.
최창호 한은 조사국장은 “최근 석유류 가격 상승률이 5월에는 전년동기대비 18% 하락했고 6월에는 (하락률이) 20% 중반 수준일 것”이라며 “이런 요인이 크게 작용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반대로 국제유가의 기저효과가 사라지며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여기에 국제유가, 국내외 경기 흐름, 공공요금 인상 정도와 관련한 불확실성도 여전히 크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연준이 앞으로 2번 더 인상할지는 불확실하다”며 “다만 지난 5월 금통위에서는 1번 인상할 것을 예상했었다”고 말했다.
이어 “연준 금리 자체에 기계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며 “금리를 인상한다고 하면 어떤 메시지를 줄지, 환율과 자본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텐데 그사이 우리나라의 상황도 변할 것이어서 미 연준의 결정이 어떤 함의가 있을지 지금 말하기엔 변수가 너무 많다”고 답했다.
또한 “연준 점도표를 보면 1년 뒤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했는데 우리 금통위원들과 1년 뒤 금리 수준 의견을 발표하는 것은 준비가 덜 돼 있다”고 말했다.
정부와의 정책 공조를 두고는 “정책 공조는 경기 상황과 상관없이 잘 되고 있고 계속해서 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rosa3311@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