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권의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플랫폼이 시행된 31일 오후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와 카카오페이 대출 비교 서비스 '대출 갈아타기' 화면 모습.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온라인을 통해 더 싼 금리의 대출로 손쉽게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인프라의 이용 금액이 1800억원을 넘어서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 같은 인기에 금융회사는 불과 며칠 만에 취급 한도가 다 차버리면서 취급 한도를 일시 폐지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5일 “현재 대환대출 인프라 운영의 초기 단계로서 상당수 차주들의 대환 수요를 고려해 당분간 금융회사별 취급한도에 제한을 두지 않고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달 31일 대환대출 인프라를 개시하면서 지나친 쏠림이나 과열 경쟁 등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회사별 연간·월간 신규 취급 한도를 설정한 바 있다.
대환대출 시범운영을 통해 개별 금융사가 신규로 유치할 수 있는 연간 신용대출 한도를 4000억원 또는 전년도 신규 취급액의 10% 이내 중 적은 금액으로 정했다. 하지만 이를 일시 폐지한다는 방침이다.
대환대출 인프라 개시 4영업일 만에 월 대환대출 신규 유치 한도를 모두 채운 금융회사들이 나왔기 때문이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카카오뱅크 등이 월 신규 한도를 모두 채운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는 "향후 대출자산의 실제 이동 규모와 방향, 금융회사 건전성 등을 면밀히 점검해 금융시장 안정과 소비자 편익을 모두 고려한 금융회사별 취급 한도 관리 방안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금융위는 은행권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등을 대상으로 대환대출 인프라를 우선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금융위는 이를 위해 지난 4월부터 운영 중인 실무 태스크포스(TF)도 오는 7일부터 확대·개편한다.
한편 금융위에 따르면 신용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4거래일간 총 6787건, 총 1806억원의 규모의 대출 이동이 이뤄졌다. 또한 은행, 저축은행, 카드사, 캐피털사를 포함해 가능한 모든 경로의 대출이동 사례가 확인됐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rosa3311@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