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 10명중 2.75명만 결혼에 '긍정'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3-12-15 17:32:20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2008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다.

2008~2022년 사이 20대 남성은 30.0%p, 여성은 25.4%p 감소했다.

여성 청년은 2008년 50% 수준에서 2022년 20대 27.5%, 30대 31.8%로, 같은 기간 남성 청년은 70% 수준에서 20대 41.9%, 30대 48.7%로 줄었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남녀 모두 30대보다 20대의 감소폭이 더 컸다.

지난해 통계청이 진행한 결혼에 대한 생각을 묻는 설문조사에 '반드시 해야 한다' 또는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 여성이 27.5%, 20대 남성은 41.9%로 집계됐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60대 이상 에서 남성 74.9%, 여성 68.7%로 50대(남 60.0%, 여 45.5%)보다도 월등히 높았다.

사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응답은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30~40대가 생각하는 사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남성은 '경제적 이유'를 여성은 '일가정 양립 어려움'을 꼽았다.

반면 50~60대 이상에서는 '직업이나 고용상태 불안정', 40대 이하에서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따라 30~34세 기혼 여성의 출산자녀는 1974년 3.01명, 1994년 1.78명, 2021년 1.12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20~30대의 독신, 동거, 무자녀, 비혼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증가 추세로 2015~2020년 사이 독신은 8.6%p, 동거 14.7%p, 무자녀 16.4%p, 비혼출산 9.5%p 증가했다.

비혼출산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 인식이 54.4%로 높았다.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은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청년가구가 5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청년독거가구(25.4%), 청년부부가구(8.1%), 청년과 자녀가구(6.8%) 순으로 집계됐다.

청년들이 꼽은 가장 필요한 주거정책은 전세자금과 주택구입자금 대출, 주거비 지원 등 금전적인 지원이 80% 이상으로 높았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신한은행, 3조 규모 GTX-B 민간투자사업 금융주선 완료
농협 ‘통상임금’ 범위 축소 논란…노조 강경 투쟁 예고
부동산 대출 규제 '풍선 효과'는 여기..빌라 거래량 급증
부동산 시장 심리 회복..8월 전국 주택 매매소비심리 소폭 상승
NH농협은행, 해외점포 현장 점검...내부통제 강화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