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中 건국 이래 첫 3연임… 만장일치로 재선출

글로벌비즈 / 박남숙 기자 / 2023-03-10 16:33:47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0일 수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14기 1차 회의 제3차 전체회의에서 사상 첫 국가주석 3연임을 확정한 뒤 선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연임에 성공했다. 

 

시 주석은 10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14기 1차 회의 제3차 전체회의에서 이뤄진 국가주석 선거(단일후보)에서 유효표 2952표 만장일치 찬성으로 선출됐다. 이어진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선거에서도 역시 만장일치로 선출됐다.

이로써 시 주석은 당 총서기와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국가주석 등 세 가지 핵심 직위를 확보해 2028년까지 중국을 이끈다.

2012년 제18차 당 대회에서 최고 지도자 자리(당 총서기 및 당 중앙군사위 주석)에 오른 시 주석은 이듬해 전인대에서 처음 국가주석으로 선출됐다. 당시 유효표 2956명 가운데 찬성 2952명(99.86%), 반대 1명, 기권 3명으로 국가주석이 됐고 2018년 2970명 만장일치로 재선출 됐다.


국가주석은 국무원 총리를 비롯한 다른 국가 고위직과 마찬가지로 연임까지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18년 헌법 개정을 통해 3연임 제한 규정이 사라졌고 시 주석이 해당 개정의 첫 수혜자가 됐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신중국) 건국 이후 국가주석 3연임 사례는 시 주석이 처음이다.

중국 헌법상 국가주석은 법률 공포, 국무원 총리·부총리·국무위원·각 정부 부처 부장과 각 위원회 주임 임면, 훈장 수여, 특별사면, 긴급사태 및 전쟁 선포, 동원령 공포, 대사 파견·소환, 조약 비준·파기 등을 전인대와 전인대 상무위원회 결정에 따라 실행한다. 중국 헌법상 직책이 아닌 ‘국가기구’로 규정돼 있으며 대외적으로 중국을 대표하는 국가원수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역대 국가주석직은 마오쩌둥, 류사오치, 리셴녠, 양상쿤, 장쩌민, 후진타오 등 시 주석을 포함해 총 7명이다. 마오쩌둥은 2연임에 그쳤다. 중국은 덩샤오핑 집권기인 1982년 헌법을 개정해 국가주석직을 2연임으로 제한했으나 시 주석 집권기인 2018년 헌법을 개정해 연임 제한을 없앴다.

중국 국회의장 격인 전인대 상무위원장은 자오러지, 국가부주석은 ‘상하이방(上海幇·상하이 출신 정·재계 인맥)’ 출신 한정이 각각 선출됐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m)

어플

주요기사

日 주요은행, 스타트업 대상 '벤처 데트' 자금조달 확산
교세라(6971 JP), 日 항공전자(6807 JP)에 800억엔 출자…커넥터 사업 강화로 전자부품 재도약 노린다
‘사라지는 엔고(円高)’…日 금리 인상 기대 후퇴에 엔화 약세 지속
日고령자 금융소득, 의료보험료 반영 추진…최대 30배 격차 해소 나선다
센트러스에너지(LEU.N) 3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농축 우라늄 부족 수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