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줄도산 위기”...25·26대 건설협회장 역임한 최삼규 이화공영도 회생 신청

인더스트리 / 김영택 기자 / 2025-04-03 14:49:07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최근 건설경기의 장기 침체로 인해 중견 건설업체들이 연이어 도산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시공능력 134위(2024년)를 기록한 코스닥 상장사인 이화공영이 기업회생절차, 즉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이는 올해 들어 7번째 법정관리 신청 사례로 기록됐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화공영은 최근 이사회 결정을 통해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 및 회사재산 보전처분 포괄금지명령을 공식 요청했다.

이에 따라 이 회사의 주식매매거래는 회생절차 개시 결정일까지 중지된다.

이화공영은 최삼규 회장이 경영하는 업체다. 그는 25대와 제26대 대한건설협회장을 역임했던 인물이다.

이화공영은 지난 1956년 설립됐다. 시공능력평가 순위 134위(2023년 기준)의 종합건설사다.

이화공영은 건축, 토목, 산업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의 공사를 수행하면서 종합건설사로서의 입지를 탄탄히 다져왔다.

그러나 지난해 영업손실은 414억원으로, 전년 손실(11억원) 대비 3600% 이상 급증했다. 매출 역시 11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7.2% 감소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약 7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단행하며 자금 확보에 나섰지만, 결국 유동성 위기를 피하지 못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화공영은 건설사 중 드물게 정치 테마주로도 언급돼 왔다. 지난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테마주'로 주가가 25배 가까이 뛴 바 있다.

최근 고금리와 고물가가 지속되고 부동산 분양경기가 침체되면서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초부터 이미 신동아건설(58위)을 시작으로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등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여기에 지난달 벽산엔지니어링(180위)까지 추가되면서 건설업계는 심각한 위기 속에 놓여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경주 APEC] 이해진 네이버 의장,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동맹 공식화
삼성전자-엔비디아,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5만개 GPU 도입
고려아연 "법원 결정 존중… 영풍·MBK 적대적 M&A 반드시 저지할 것"
‘더샵 오산역아크시티’ 분양, 오산 최고층 44층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LG전자, 美 관세·전기차 캐즘에도 가전·전장 '최대 실적'…3분기 영업익 6889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