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대형마트의 라면판매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우리나라 서민 먹거리인 라면의 올해 1분기 물가 상승률이 15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399만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이란 전체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사회보험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
올해 1분기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은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 먹거리 물가 품목인 가공식품과 외식의 물가 상승률은 9.9%와 7.5%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2.9배, 2.2배였다.
가공식품의 경우 세부 품목 73개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웃도는 품목이 87.7%인 64개에 달했다.
또 일반 서민이 자주 찾고 경제생활에도 영향을 주는 빵(14.3%)과 스낵과자(13.1%), 라면(12.4%), 아이스크림(11.8%), 파이(11.0%) 등은 10%가 넘었다.
특히 라면의 경우 올해 1분기 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14.7%) 이후 15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아이스크림도 2009년 2분기(14.5%) 이후 가장 높았다.
반면 빵은 지난해 4분기 15.3%로 2008년 4분기(17.8%) 이후 정점을 찍었다가 올해 1분기 소폭 하락했다.
뿐만 아니라 올해 1분기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단 2개를 제외한 37개(94.9%)의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웃돌며 외식을 즐기기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피자(10.5%)와 라면(외식)(10.4%), 김밥(10.4%), 떡볶이(10.0%), 돈가스(10.0%) 등 평소 서민들이 자주 즐기는 외식 품목도 10%가 넘었다.
알파경제 임유진 (qrq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