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반도체기업 지원시 반도체 안정적 공급 '최우선 고려'

글로벌비즈 / 폴리 특파원 / 2023-03-02 13:51:28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시카고) 폴리 특파원] 미국 정부는 반도체 생산 지원금을 받는 기업을 선정할 때 군사용 반도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기로 했다. 자국의 국가안보 이익을 가장 먼저라고 강조했다.


28일(현지시각) 해외 언론보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른 보조금 신청에 들어가면서 기업이 다뤄야 6가지 심사기준을 발표했다. 

미국 반도체 생산 지원금 심사 기준 (사진=연합뉴스)

가장 먼저 군사용 반도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지, 세금이 낭비되지 않도록 기업이 초과 이익을 미국 정부와 공유해야 하는 초과이익 공유제, 노동자들을 위한 사내 보육원 설치, 보조금을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에 쓸 수 없는 조건 등이 붙었다. 

지나 라이몬도 상무부 차관은 “모든 정교한 군사 장비, 드론, 위성에 반도체가 들어가는 상황에서 미국이 대만에서 첨단 반도체 90% 이상을 구매하는 것은 국가 안보의 취약성을 보여준다”며 “반도체법은 반도체의 미국 내 제조를 촉진하는 것으로 국가 안보 이니셔티브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상무부는 미국의 안보를 증대시킬 수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상무부는 "국방부와 국가안보 기관은 미국 내 상업생산시설에서 제조된 안전한 최첨단 로직 반도체에 대한 접근을 갖게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사업의 상업성도 심도 있게 들여다 볼 것을 밝혔다. 보조금을 신청한 기업이 장기간 공장을 운영할 능력이 있는지, 지속적인 투자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살피는 것이다. 이에 관해 라이몬도 차관은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끝까지 버틸 수 있도록 여러 안전장치를 만들 것"이라 약속했다. 

 

이 외에도 사업의 예상 현금 흐름과 수익률 등 수익성 지표를 통해 재무 건전성을 검증한다.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에 쓰지 못하고 초과 수익은 정부와 나눠야 한다. 반도체 사업으로 거둘 수 있는 예상 수익률 등은 미국 정부에 제출해야하는 의무를 가진다.

 

또한 노동자들을 위해 사내 어린이집이나 공장 근처에 보육시설을 마련해야 한다. 

 

미 국방부 (사진=연합뉴스)


그러나 일각에선 보조금 지급 조건으로 초과 이익 공유, 사내 어린이집 설치 등을 요구한 것은 과하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무역 관련 전문가는 해외 언론 보도를 통해 "기존 반도체법에 담겼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제한이나 조건이 붙었다"고 지적하며 "사내 어린이집, '바이 아메리카' 등의 조건은 보조금 신청자의 비용을 높이고, 프로젝트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상무부는 향후 몇 달간 보조금 신청 검토에 열을 올릴 것으로 계획했다. 반도체 공장 관련 보조금은 오는 봄부터,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보조금은 이르면 가을부터 지급될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들은 이 같은 미국 정부의 발표에 신중한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초과이익 공유제의 구체적 내용, 심사 기준 세부 항목의 해당 여부 등을 파악 후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 말했다. 

 

알파경제 폴리 특파원(hoondork1977@alphabiz.co.kr)

주요기사

日 4대 은행, 금리 상승으로 자국내 리테일 강화 경쟁
히노(7205 JP)·도요타(7203 JP), 일본내 첫 수소 트럭 10월 시판
후지쯔(6702 JP)-일본IBM, 생성AI·클라우드·헬스케어 전략 협업
미쓰이스미토모FG(8316 JP), 인도 예스은행 20% 지분 취득
일본은행(8301 JP), 9월 회의서 금리 0.5% 동결 유력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