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TSLA), 자사주 매입 확정시 ROE 제고 효과 기대"

글로벌비즈 / 박남숙 기자 / 2023-04-18 13:37:58
출처=Tesla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연초 이후 50% 가량 주가가 상승한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TSLA)가 이번 실적 발표에서 자사주 매입을 확정될 경우 ROE(자기자본이익률) 제고 효과 가 기대된다.

 

김세환 KB증권 연구원은 "오는 19일 실적 발표에서 확인해야 할 주요 사항은 '자사주 매입' 여부"라며 "테슬라의 매출 성장은 둔화되었지만 견고한 현금흐름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예정대로 50억~100억 달러의 자사주매입이 시행될 경우 최대 1.7%의 주당순이익 증가 효과가 예상되며, 2024년 사이버트럭, 콤팩트 차량 (미정) 등의 신제품 출시 여부도 신규 성장 가능성에 영향을 줄 것이란 전망이다.

 

김세환 연구원은 "테슬라의 단기 주가 변동성은 높게 나타날 수 있지만, 장기 이익 성장성을 반영한 주가는 시장 대비 저평가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의 영업이익률은 17%로 포드 4%, GM 7%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2022년 연간 잉여현금흐름은 75.6억 달러로 전년대비 52% 증가했으며, 2019년 이후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부채비율이 낮은 테슬라에게 50억~100억 달러 자사주매입 시행은 어려워 보이진 않다는 판단이다.

 

출처=KB증권

 

지난 3월 마스터 플랜 3에서 신차 발표가 없었지만, 이후 업데이트 자료에서는 53kWh 용량 (예상)의 소형 차량이 ‘상세 내용 미공개 (TBD)’로 나왔다. 모델 Y 공정 개선과 차세대 플랫폼을 통한 원가 절감을 언급한 부분도 긍정적이다. 

 

같은 3월 말에는 서울 모빌리티 쇼를 통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모델 S 플래드 (Plaid)를 선보이고 판매에 들어갔다.


김세환 연구원은 "테슬라의 12개월 선행 PBR(주가순자산비율)과 ROE를 반영한 PER(주가수익비율)는 42배로 2021년의 82배 대비 프리미엄이 감소했고, 3년 EPS(주당순이익) CAGR 19.5%을 반영한 PEG(주가수익성장비율) 배수는 2.2배로 시장 2.4배를 하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m)

어플

주요기사

日 주요은행, 스타트업 대상 '벤처 데트' 자금조달 확산
교세라(6971 JP), 日 항공전자(6807 JP)에 800억엔 출자…커넥터 사업 강화로 전자부품 재도약 노린다
‘사라지는 엔고(円高)’…日 금리 인상 기대 후퇴에 엔화 약세 지속
日고령자 금융소득, 의료보험료 반영 추진…최대 30배 격차 해소 나선다
센트러스에너지(LEU.N) 3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농축 우라늄 부족 수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