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재계, 한국 플랫폼 법안 통과 우려...법안 전문 공개와 소통 필요

파이낸스 / 김지현 기자 / 2024-01-30 14:36:23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미국상공회의소는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규제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나섰다.


지난 29일(현지시각) 미 상의는 아시아 담당 부회장인 찰스 프리먼(Charles Freeman)명의 성명문에서 "미 상의는 한국이 플랫폼 법안을 서둘러 통과시키는 것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미 상의는 "미국에서 플랫폼 법안 통과 실패 등 여러 나라의 규제 논의를 면밀히 관찰해왔다"면서 "플랫폼 규제안에는 심각한 결함이 있음을 입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입장에 대해 미 상의는 "플랫폼 규제는 ▲소비자에게 분명 이익을 제공하는 경쟁을 무시 ▲건전한 규제 모델의 기본적인 원칙을 무시 정부가 외국 기업을 자의적으로 공격해 무역 약속을 위반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 공정거래위원회에게는 이런 조치에 필요한 투명성과 개방적인 대화 방식을 채택할 것을 촉구한다”며 “법안의 전문을 공개하고 한국 정부가 미국 재계와 미국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충분히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미국 상공회의소 홈페이지


미국상공회의소는 정부 정책과 의회 입법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미 재계를 대변하는 단체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내달 중 플랫폼 법안을 공개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한국의 네이버, 카카오와 미국의 애플, 구글 등이 대상 기업으로 거론 되고 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주요기사

[개장] 美 FOMC 주목하며 나스닥 최고치 기록
5대 은행 주담대, 1년반 만에 뒷걸음
금감원 노조-이찬진 첫 면담서도 평행선…투쟁 지속 예고
신한금융지주 "롯데손보 인수 추진 보도 사실무근"
[마감] 코스피,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행진…3400선 턱밑 마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