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년 동기 대비 가격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사진=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올해 3분기 생활필수품 가격이 지난해보다 평균 8.3%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생활필수품 39개의 가격 분석 결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8.3% 상승했다고 31일 밝혔다.
달걀(-3.0%)과 식용유(-0.3%)를 제외한 모든 품목의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고 상승한 37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8.9%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률이 높은 5개 품목은 케첩(28.3%), 마요네즈(23.3%), 쌈장(19.5%), 아이스크림(18.6%), 어묵(18.2%) 순으로 이들 상위 5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21.6%로 집계됐다.
상승률 10%가 넘는 품목도 15개 품목에 달했다.
제품별로 보면 오뚜기 토마토 케첩이 28.3%로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대상 청정원 순창 100% 현미 태양초 찰고추장이 24.8%, 오뚜기 고소한 골드 마요네즈가 23.3%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물가감시센터는 "남양유업 아이엠마더 3단계의 경우, 2023년 1월부터 시행된 '원유 용도별 차등 가격제'로 분유에 사용되는 가공유의 가격이 19.9% 하락해 가격 상승 요인이 없음에도 23.1%의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올해 2분기 대비 3분기의 가격 변동을 살펴보면 22개 품목이 상승했고, 16개 품목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1.5%로 조사됐다.
상승률 상위 5개 품목은 설탕(8.0%), 쌈장(3.5%), 케첩(3.2%), 기저귀(2.8%), 어묵(1.9%) 순으로 높았다.
가장 높은 폭으로 상승한 설탕은 원재료인 원당의 가격이 최근 2분기부터 상승세를 보이자 제조업체에서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보인다.
원당의 1kg의 가격은 3분기 평균 844원으로 전년 동기(1kg에 659원) 대비 28.1% 상승했다.
물가감시센터는 "3분기 생활필수품 가격조사 결과, 드레싱 및 장류 그리고 설탕에 대한 가격 상승률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며 "이러한 품목들은 밥상 물가뿐만 아니라 외식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품목들로 가격 인상 시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