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3.5% 유지…6회 연속 동결

파이낸스 / 김지현 기자 / 2023-10-19 11:48:06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3.50%로 동결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9일 서울 세종대로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지난 2·4·5·7·8월에 이어 10월까지 6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한‧미 간 금리 차이는 상단을 기준으로 2%p로 유지된다.

금통위는 금리 동결의 배경에 대해 "물가상승률이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물가 및 성장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졌다"며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여건의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대외경제 여건에 대해 "세계경제는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의 영향으로 경기 및 인플레이션 흐름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증대됐다"며 "글로벌경기는 성장세 둔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점차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인 가운데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상방 리스크가 증대됐다"고 했다.

이어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국채금리가 큰 폭 상승하고 미 달러화가 상당폭 강세를 나타내는 등 주요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됐다"며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국제유가 움직임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둔화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및 파급효과,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의 전개양상 등에 영향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통위는 우리 경기에 대해 "실물국내경제는 소비 회복세가 다소 더딘 모습이지만 수출 부진이 완화되면서 성장세가 완만한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며 "앞으로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 완화로 성장세가 점차 개선되면서 올해 성장률도 지난 8월 전망치(1.4%)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비자 물가는 에너지 및 농산물 가격 상승 등으로 9월중 상승률이 3.7%로 전월보다 높아졌지만,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과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모두 9월중 3.3%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금통위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말에는 3%대 초반으로 낮아지고 내년에도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높아진 국제유가와 환율의 파급영향,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수렴하는 시기도 당초 예상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판단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사상 첫 3400선 돌파…”정부 양도세 기준 유지로 투자 심리 고조”
우리은행, 국민연금 수탁은행에 4회 연속 선정
신한은행, 3조 규모 GTX-B 민간투자사업 금융주선 완료
농협 ‘통상임금’ 범위 축소 논란…노조 강경 투쟁 예고
부동산 대출 규제 '풍선 효과'는 여기..빌라 거래량 급증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