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영끌족, 고금리에 돈 생기면 10명 중 6명 대출 갚았다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4-01-04 11:24:57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지난해 대출을 보유하고 있던 사람 10명 중 6명은 고금리 부담에 중도 상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4일 발표한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4'에 따르면 지난해 월 평균 가구소득은 500만원이 넘어 전년 489만원과 비교해 22만원 늘었다.

이 중 절반 정도는 소비 및 지출에 사용됐고, 저축과 투자는 소득의 20%(107만 원)남짓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소득에서 고정·변동지출 및 보험료, 대출상환액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저축 가능액으로 간주할 때, 소득의 절반 이상이 남아 저축 여력이 높은 소비자는 전년(25%) 비 올해 소폭 증가했다.

금융소비자의 재정 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보이지만 반대로 저축여력이 낮은(0%~30%) 소비자도 유사한 비율로 증가해 가계 재정이 양극화되는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2년과 비교해 2023년 대출 보유는 거의 유사한 수준이나 대출 잔액은 더 높아졌다.

이는 대출 심사 기준이 까다로워짐에 따라 자산가층 중심으로 대출이 진행됐거나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상환 어려움, 소액 대출 우선 정리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대출 보유자 중 최근 1년 내 대출을 중도 상환한 비율은 61.1%로 집계됐다. 세부별로는 전액 중도 상환이 20.6%, 일부 중도 상환 40.5%였다.

연구소는 "최근 2~3년 전만해도 빚투, 영끌처럼 대출의 레버레징을 통한 자산 증식이 성행했으나, 올해는 투자보다 대출 상환을 먼저 고려하는 디레버레징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부동산 시장 심리 회복..8월 전국 주택 매매소비심리 소폭 상승
NH농협은행, 해외점포 현장 점검...내부통제 강화
우리은행, 웹케시와 손잡고 기업자금관리 솔루션 강화
KB국민은행, 크리에이터 위한 외환우대서비스 선봬
토스뱅크·하나카드, 두번째 PLCC 카드 ‘Day’ 출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