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트리엔(NTR), 글로벌 화학 업체들의 탈유럽화로 인한 수혜 기대"

글로벌비즈 / 박남숙 기자 / 2023-03-21 08:12:59
출처=NUTRIEN 홈페이지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글로벌 최대 비료생산업체인 뉴트리엔(NTR)이 글로벌 화학 업체들의 탈유럽화로 인한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하이투자증권은 21일 뉴트리엔에 대해, 유럽 내 에너지 시장의 불확실성과 비용 상승에 따른 화학 업체들의 탈유럽화가 동사 수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했다.

뉴트리엔은 글로벌 비료 생산 업체로 약 3000만 톤의 총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질소(N), 인산염(P), 칼륨(K) 비료 제품 포트폴리오를 모두 보유한 업체들 중 가장 큰 규모이며, 통합설비로 원료 조달부터 안정적인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최근 천연가스 가격 변동 완화를 위한 정부 지원은 재정부담으로 한계에 도달했고,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가 어려운 유럽 내 업체들의 부담 상승과 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최근 Dow, BASF 등 글로벌 화학 업체들이 에너지 비용 부담을 이유로 공식적인 구조조정 및 설비 폐쇄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 외에도 암모니아, 요소 등을 생산하는 비료 업체들도 설비 가동 중단 또는 감산을 실시하고 있다.

 

이주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럽 내 생산설비 익스포저가 낮은 뉴트리엔의 경우, 안정적인 원료와 에너지 수급을 통한 제품 공급과 수요 확보 경쟁에 우위를 점할 수 있어 상대적인 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또한 100 만톤 규모 청정 암모니아 생산설비 와 올해 칼륨 생산능력을 2340 만톤까지 840 만톤 추가 확대할 계획을 발표해, 향후 유럽 구조조정으로 추가 발생할 수요까지 적극 대응하겠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도 주목할 만하다"고 판단했다.

 

뉴트리엔의 지난해 총 매출액은 378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6.7% 성장했고 영업이익 116억 달러로 137.1% 성장했다. 2 월 발발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은 뉴트리엔에 부정적보단 긍정적인 면이 더 컸다는 판단이다.

 

출처=하이투자증권

 

이주완 연구원은 "작년만큼의 성장은 어려우나 꾸준한 수요로 인한 긍정적 전망이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뉴트리엔은 곡물 재고의 지속적인 감소로 중장기적 전방 수요 역시 작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2022년과 같이 유례 없던 비료 가격 상승세는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전쟁 이전 대비 높은 가격 레벨 상황임을 감안하면 꾸준한 수요에 따라 실적은 올해도 여전히 긍정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m)

어플

주요기사

日 주요은행, 스타트업 대상 '벤처 데트' 자금조달 확산
교세라(6971 JP), 日 항공전자(6807 JP)에 800억엔 출자…커넥터 사업 강화로 전자부품 재도약 노린다
‘사라지는 엔고(円高)’…日 금리 인상 기대 후퇴에 엔화 약세 지속
日고령자 금융소득, 의료보험료 반영 추진…최대 30배 격차 해소 나선다
센트러스에너지(LEU.N) 3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농축 우라늄 부족 수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