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3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9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중심지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규제와 제도도 과감히 정비한다는 방침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3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9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디지털화, 지속가능금융의 확산 등 급속도로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글로벌 금융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선 향후 3년간 금융중심지 정책의 비전과 방향을 담은 '제6차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2023~2025)을 심의했다. 서울시와 부산시로부터 금융중심지 조성현황과 발전계획도 보고받았다.
김 위원장은 “이번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에서는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면서 우리 금융산업이 비교우위가 있는 분야를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추진과제를 발굴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당초 목표했던 동북아 금융허브가 됐다고 말하기에는 여전히 어렵다고 평가했다. 최근 글로벌 금융회사의 국내 진입은 정체되고 있는 데다 아시아 지역본부 유치 등도 미흡하다고 봤다.
김 위원장은 “디지털 대전환 속에서 우리 금융회사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금융규제 혁신을 지속하고 핀테크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디지털금융, 지속가능금융 등 금융트렌드의 변화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신속히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투자자의 국내 자본시장 투자가 확대되고 코리안 디스카운트가 해소될 수 있게 규제·제도를 과감하게 정비하겠다”며 “금융위 내 신설한 ‘금융 국제화 대응단’ 등을 통해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해외 금융사 유치 노력과 서울·부산의 지역별 맞춤형 발전전략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중심지 관할 지자체인 서울시는 디지털금융센터와 금융특화단지 조성 등을 통한 여의도 금융클러스터 확충·집적과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환경 조성, 핀테크 유망기업 육성과 글로벌 금융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글로벌 금융중심지 기능 강화와 정책금융중심지 기반 구축, 디지털 금융역량 강화, 해양·파생 금융혁신 등 4대 추진전략이 담긴 ‘부산 금융중심지 발전계획’을 보고했다.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 위원들은 금융중심지 정책에 대한 금융중심지 정책 추진을 위한 범정부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핀테크 산업 육성, 금융규제의 불확실성 해소, 국내 금융사 해외 진출 시 전략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금융중심지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안(2023~2025)’은 향후 금융위원회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된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rosa3311@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