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참여연대 “삼성물산 불법합병, 이재용 엄벌 촉구”...26일 1심 선고 앞두고 탄원서 제출

파이낸스 / 김영택 기자 / 2024-01-09 17:07:20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영택 기자]참여연대는 지난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불법합병과 회계분식에 대한 1심 판결을 앞두고, ‘이재용 회장 엄벌 촉구’하는 탄원서를 재판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참여연대는 오는 26일 1심 선고를 앞두고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 25-2부(박정제·지귀연·박정길 부장판사)에 삼성그룹 불법합병 및 회계부정 사건에 대한 공정하고 엄중한 판결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이 캠페인은 지난 8일부터 시작됐고, 9일 오후 5시 현재 현재 322명이 서명했다. 기간은 오는 20일 자정까지다. <참고자료 참여연대 - 삼성물산 불법합병, 이재용 회장 엄벌촉구 탄원 서명

 

(자료=참여연대)


참여연대는 “불법합병을 통해 이재용 회장은 아주 적은 주식으로 국내 1위 기업 삼성전자를 지배할 수 있게 됐다”면서 “하지만, 옛 삼성물산 주주들은 주식 가치가 평가절하된 만큼 손해를 봤고, 국민연금 역시 최소 1137억원에서 최대 6750억 원의 손해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 노후자금이 이재용 회장 사익에 동원된 셈이다. 지난 2014년 이재용 당시 부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은 0.57% 수준이었다.

당시 이건희 회장 사망 직후 안정적으로 삼성전자를 지배하기 위해 삼성전자 주식 4%를 보유하고 있던 옛 삼성물산의 지분이 필요했다.


(자료=참여연대)

 

참여연대는 “이재용 회장이 지분 23.2%를 보유했던 제일모직과 지분 0%인 삼성물산의 불법합병을 추진했고, 삼성물산 가치는 낮추고, 제일모직 가치는 부풀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불법합병으로 삼성물산뿐만 아니라 삼성물산 주주들도 손해를 봤다”면서 “엘리엇매니지먼트는 국민연금의 합병비율 찬성을 빌미로 대한민국 정부에 ISDS를 제기, 손해배상액 약 690억 원과 지연이자, 법률비용 지급 결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참여연대는 “국민연금의 손실은 말할 것도 없고, 국고가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질서와 사법 신뢰도 심각하게 훼손됐다”고 비판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주요기사

부동산 시장 심리 회복..8월 전국 주택 매매소비심리 소폭 상승
NH농협은행, 해외점포 현장 점검...내부통제 강화
우리은행, 웹케시와 손잡고 기업자금관리 솔루션 강화
KB국민은행, 크리에이터 위한 외환우대서비스 선봬
토스뱅크·하나카드, 두번째 PLCC 카드 ‘Day’ 출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