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BYD 전기차, 한국 시장 진출 본격화...지난달 운반선 평택항 도착

인더스트리 / 김영택 기자 / 2024-06-13 16:32:00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중국의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한국 시장에 발을 들이기 위한 초기 단계로 일부 차량을 수입하고 인증 절차를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BYD의 한국 진출 가능성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입 관세, 물류비, 유지 보수 및 보증 비용 등 여러 요인을 고려했을 때 BYD가 국내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3일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달 평택항에 BYD의 자동차 운반선이 도착했다.

 

해당 선박에는 BYD의 승용차 모델 '돌핀'과 '씰'의 한국 시장 출시를 위한 첫 물량을 싣고 왔다. 

 

이들 차량은 현재 주행 거리, 충전 속도, 배터리 및 안전성 등에 대한 다양한 인증 절차를 거치고 있다.

 

BYD는 배터리를 100% 자체 생산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원가 경쟁력을 갖춘 전기차 제조업체 중 하나로 꼽힌다. 

 

이미 중국 내에서는 폭스바겐이나 토요타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보다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선두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YD가 한국 시장에서 같은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국내 시장 진입시 발생하는 추가 비용과 현재 현대차나 기아와 같은 국내 업체들과의 가격 경쟁은 BYD에게 상당한 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 유럽 시장에서 이미 진출해 있는 BYD 차량의 경우, 중국 내 판매 가격보다 현저하게 높게 책정되어 있는 것이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한다.

 

예를 들어 소형 전기차 '돌핀'의 경우 중국 내 판매 가격 대비 일본과 유럽 시장에서 각각 크게 상승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BYD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 하더라도 당분간은 현재의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비교해 크게 저렴한 가격대로 차량을 제공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자체 생산 공장 설립 전까지는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주요기사

SK하이닉스,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2655억원 조기 지급
[기업평판] SK하이닉스, 신고가 경신 후 매수 적기인가 : 알파경제TV
한온시스템 증자 발표, 실적 회복 속도가 관건
펄어비스 '붉은사막', 2026년 3월 19일 출시 확정
얼굴에 흰 액체 들이 붓더니…이니스프리, '선정성 논란' 확산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