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케이뱅크가 가상자산 실명계좌 한도 해제 조건을 대폭 완화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두고 금융권 일부는 케이뱅크가 업비트 관련 실적 확대를 노리고 정책을 변경했다 금융당국 압박에 항복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케이뱅크는 지난 25일 0시부터 가상자산 한도계정 해제 조건을 입금일 경과 기준 3일에서 30일로 늘리고 매수금액도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올렸다고 밝혔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한도 계정 도입 후 한달 동안 운영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한 결과 경쟁시장 상황과 이해관계자 의견, 소비자 보호 등을 감안해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은행연합회는 ‘가상자산 실명계정 운영지침’을 내놓고 신규 고객들의 경우 입금 한도를 500만원으로 제한하는 한도계정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에 카카오뱅크(코인원), 농협은행(빗썸), 신한은행(코빗) 등은 원화 입금일로부터 30일 경과 매수금액 500만원 이상으로 해제 조건을 설정·운영해왔다.
그러나 케이뱅크는 이 조건을 원화 입금일로부터 3일, 가상자산 매수금액은 300만원 이상으로 적용하면서 조건을 대폭 완화한 바 있다.
관련 업계는 케이뱅크와 업비트가 암묵적인 룰을 깬 것을 두고, 독과점 심화 가속화 가능성에 불만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진다.
25일 만에 정책을 원상 복귀한 케이뱅크 측은 “해제 조건은 운영지침 상 구체적인 조건을 수치화해 규정하지 않아 시장 상황 등에 따라 유동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내부통제와 투자자 보호 고객 편의성 등에 따라 한도 조정을 유동적으로 해나갈 것”이라면서 금융당국 압박설을 일축했다.
케이뱅크는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점유율 약 80%를 점유하고 있는 업비트에 실명계좌를 제공해 주고 있는 인터넷은행이다.
2021년 기준 케이뱅크는 업비트 투자자 자금 수신고 50%를 초과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20%대로 낮아져 비상이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여전히 업비트에 대한 의존이 절대적이어서 은행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계속 나오고 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