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백테크(688005 CN), 전기차 수요 부진 우려에도 저평가 매력"

글로벌비즈 / 김민영 기자 / 2023-11-21 15:03:42
(출처=용백테크)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전세계 삼원계 양극재 점유율 1위 업체인 용백테크(688005 CN)가 전기차 수요 부진 우려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저평가 매력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2019년 중국 상하이거래소에 상장된 용백테크는 2014년에 설립된 이차전지 양극재 및 전구제 생산 업체로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전세계 전기차향 삼원계 양극재 점유율 약 14%로 한국 업체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중국 기업이긴 하나 창업 이후 삼성 SDI 와 엘앤에프 출신인 유상열 CEO가 회사를 맡아오고 있다. 주력 제품은 NCM 삼원계 양극재이며, 그 중에서도 니켈 비중 80%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다. 중국 1위 배터리 셀 업체인 CATL 의 주력 공급사로 Farasis, CALB 등을 고객사로 확보 중이다. 지난해에는 Ronbay skyland 인수를 통해 인산철 양극재 양산 준비도 본격화하고 있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동사는 한국을 포함해 총 4곳에 2022년말 기준 25만 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 공장을 구축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에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 상황 속에 미국 IRA법 시행 영향으로 한국 내 생산 설비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IRA법 내 핵심광물에 속하는 양극재는 일정 비율을 미국에서 직접 생산하거나 FTA 체결국에서 추출 혹은 제련, 재활용해야 전기차 구매시 3750 달러의 소비자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용백테크는 2030년 삼원계 양극재 캐파 100 만 톤과 인산철 양극재 56 만 톤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전세계 양극재 업체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출처=하이투자증권)

 

정원석 연구원은 "최근 매크로 불확실성으로 인해 전기차 수요 부진 우려가 부각되고 있으나 세계 각국의 친환경 정책 방향성이 바뀌지 않는다면 전기차로의 대전환 방향성은 확실하다"고 판단했다.

 

단기적으로는 중국 내 전기차(BEV+PHEV) 침투율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점은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정원석 연구원은 "그러나 주력 고객사인 CATL이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삼원계 배터리를 중심으로 점유율이 2020년 1분기 약 16%에서 3분기 44%까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2024년 실적 성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2024년과 2025년 예상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각각 13 배, 10 배 수준에 불과해 높은 밸류에이션 매력도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주요기사

메타(META.O), 첫 상용 '스마트 글래스' 선보여..."눈 앞에 펼쳐지는 AI 기술"
英, 트럼프 국빈 방문 사상 최대 해외 투자 확보...경제적 효과 적극 강조
애니컬러(5032.JP) 깜짝 실적에 상한가 재현, 주가 조정시 매수
퍼스트솔라(FSLR.N) 태양광 설치량 증가, 관세로 '상대적 위치' 강화
구글(GOOGL.O), 페이팔(PYPL.O) 결제 서비스 통합…AI 기반 쇼핑·결제 서비스 경험 확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