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시중은행, 건설업 대출 조인다...지방·저축은행으로 쏠릴까

인사이드 / 김혜실 기자 / 2025-02-03 05:00:59
(사진=연합뉴스)

 

은행권이 건설업종의 대출 문턱을 더 높인다. 

 

신동아건설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는 등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다. 

 

이에 따라 부실 건설사들은 향후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 우리은행, 건설업 대출 한도 강화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건설업체 신용평가 등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10억원 초과 거액 신규대출을 허용하기로 했다. 

 

예·적금 담보대출, 100% 보증서 담보대출,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 등 결제성 자금은 예외다.

 

신용등급이 취약한 건설사는 80% 이상 보증을 조건으로 하는 담보대출만 허용한다. 

 

우리은행은 지난해부터 대출 관리를 강화해오다 건설업 전망·건전성 지표 등을 고려해 추가 대책을 시행키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 5대 은행 건설업 여신심사 강화

 

우리은행 외 주요 은행들도 이미 건설업체에 엄격한 여신심사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건설업 연간 순증 대출한도를 12조5000억원으로 제한했다. 또 건설업체 중 관리가 필요한 업체를 따로 분류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건설업종을 위험업종으로 정해 대출한도를 보수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하나은행은 업황이 지속적으로 나빠질 경우 리스크관리위원회 결의를 거쳐 관련 관리 정책을 세울 예정이다.

 

NH농협은행은 지난해 우량 사업장 위주로만 건설업 대출을 취급해왔다. 건물건설업은 일반적 신규 여신이 불가하고, 우량 차주만 예외적으로 신규 대출이 가능한 상황이다. 

 

(사진=연합뉴스)

 

◇ 지방·저축은행 등 건설업 대출 쏠림 우려

 

은행들이 건설업 대출을 강화하는 것은 대출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서다. 실제 지난해 말 5대 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0.47%로, 전체 원화대출 연체율 0.35%보다 0.12%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5대 주요은행이 건전성 관리에 나서면서, 건설업체들이 유동성 확보를 위해 5대 은행을 제외한 타금융 회사로 쏠리면서 여타 금융기관들의 연체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내 한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특히 지방은행과 저축은행의 부실이 우려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iM(옛 대구)·경남·광주·전북은행 등 5개 지방은행 지난해 3분기 기준 연체율은 0.63%로, 5대 시중은행 연체율을 크게 웃돌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현재 지방은행의 건전성 제고를 위한 부실채권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경우엔 연체율이 두자릿수까지 치솟는 은행이 나오면서 금융당국이 적기시정조치를 내리는 등 강제 구조조정작업에 들어간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건설업 전망도 어둡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1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국내 건설투자가 지난해보다 1.3%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전 0.7% 감소 전망 보다 후퇴한 수치다.

 

이정현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저축은행은 부동산PF 대출만기가 집중돼 있는 올해 상반기까지 매각 및 재구조화 대상 사업장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미흡한 사업장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이번주 초미의 관심사 FOMC, 인하 후 긴축 강도 축소 전망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
[심층] PG업계, 금감원 가이드라인에 반발..."본질 벗어난 규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