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일렉트론(8035 JP), 日 반도체 산업 부활 기대"

글로벌비즈 / 김민영 기자 / 2023-12-13 14:54:27
(출처=도쿄일렉트론)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반도체(전공정) 제조 장비 세계 3위, 일본 내 최대 규모로 1위 기업인 도쿄일렉트론(8035 JP)에 대해 일본 반도체 산업 부활이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도쿄일렉트론이 주도하는 반도체 관련 합작회사 라피더스(Rapidus)는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 2027년 AI 반도체 양산을 위해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라피더스의 비즈니스 모델은 설계, 전공정, 후공정이 일체화되는 ‘RUMS(Rapid&Unified Manufacturing Service)’로 2022년 12월 6일 벨기에 IMEC(아이멕)과 EUV(극자외선,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노광 기술 관련 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12월 13일에는 IBM과 2nm 노드 기술 개발 관련 계약을 맺었다. 

삿포로 치토세시에 있는 생산 공장은 2023년 10~12월 반도체 제조 장비 및 반도체 재료 발주를 개시했고 2024년 12월 반도체 제조 장비 반입을 시작했다. 2025년 4월 가동 개시 가 목표로 제조 방식은 다품종 소량 생산이 될 예정이다.


김채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nm 양산화는 2025년 삼성전자, TSMC가 선행할 것으로 예상되나 2027년에는 Rapidus가 GAA(Gate All Around) 신기술을 개발해 뒤따를 것"이라며 "도쿄일렉트론에 있어 Rapidus는 기존 동사가 추구해 온 반도체 프로세스와는 전혀 다른 장비를 개발·양산하게 되므로, 사업 확대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와 함께, Rapidus의 반도체 투자와 NTT(9432 JP) 등이 제창하는 IOWN(아이온, Innovative Optical & Wireless Network) 투자가 일본의 반도체 산업 부활로 이어져, 디플레이션 해소의 기폭제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주요기사

메타(META.O), 첫 상용 '스마트 글래스' 선보여..."눈 앞에 펼쳐지는 AI 기술"
英, 트럼프 국빈 방문 사상 최대 해외 투자 확보...경제적 효과 적극 강조
애니컬러(5032.JP) 깜짝 실적에 상한가 재현, 주가 조정시 매수
퍼스트솔라(FSLR.N) 태양광 설치량 증가, 관세로 '상대적 위치' 강화
구글(GOOGL.O), 페이팔(PYPL.O) 결제 서비스 통합…AI 기반 쇼핑·결제 서비스 경험 확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