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금융감독원.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국내 회계법인의 총매출이 처음으로 6조원을 넘어섰지만, 업계 경쟁 격화로 평균 감사보수가 3년 연속 하락하면서 감사품질 저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4일 '2024사업연도 회계법인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를 통해 지난해 국내 254개 회계법인의 총매출이 6조281억원을 기록해 전년(5조8050억원) 대비 3.8% 증가했다고 밝혔다.
회계법인 수는 전년보다 21개 늘었고, 소속 등록회계사는 1만6422명으로 593명(3.7%) 증가했다. 공인회계사법 개정으로 회계법인 설립에 필요한 회계사 수가 10명에서 7명으로 완화되면서 소형 법인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경영자문 매출이 1조9789억원으로 3.1% 증가하며 전년 마이너스 성장에서 플러스로 반등했고, 세무 부문도 1조7797억원으로 6.6% 늘었다. 감사 부문은 2조904억원으로 3.2% 성장했지만, 증가율은 전년(4.7%)보다 둔화됐다.
4대 법인의 매출은 총 3조원으로 전체의 49.0%를 차지했다. 삼일회계법인이 1조1094억원으로 8.4% 증가해 유일하게 1조원을 넘었고, 삼정회계법인은 8755억원으로 2.7% 늘었다. 반면 안진회계법인은 5074억원으로 1.5%, 한영회계법인은 4645억원으로 3.3% 각각 감소했다.
문제는 감사보수 하락세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평균 감사보수는 468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떨어졌다. 2022사업연도 4960만원에서 2023사업연도 4900만원으로 1.2% 하락한 데 이어 낙폭이 더욱 커진 것이다.
규모별로는 4대 법인이 1억8470만원으로 4.4% 하락했고, 등록법인은 7160만원으로 4.2%, 일반법인은 1520만원으로 2.1% 각각 떨어졌다.
외부감사 실적은 3만6756건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지만, 감사보수는 오히려 감소하면서 회계법인들이 가격 경쟁에 내몰리고 있음을 보여줬다.
금감원은 "감사보수 위주의 수임 경쟁으로 업계 전체 평균 감사보수 하락세가 지속됐다"며 "회계법인들이 충실한 외부감사를 수행하기 위해 감사품질과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충분한 인력과 시간을 투입하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회계법인들이 감사품질 관리에 사용한 예산은 전체 예산의 평균 3%로 전년(3.1%)보다 0.1%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대 법인 소속으로 5억원 이상 보수를 받은 이사는 139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보수는 8억2000만원이었다. 회계법인이 피소돼 진행 중인 소송 금액은 5042억원으로 전년 대비 742억원 줄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