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한국투자증권 5.7조원 회계오류 심사 착수…"고의성 등 검토"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5-04-01 13:45:11
(사진=금융감독원)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금융감독원이 내부 회계오류로 5년치 사업보고서를 정정한 한국투자증권에 대해 회계심사에 착수했다.

앞서 한국투자증권은 지난달 매출 5조7000억원이 과대계상된 것으로 확인돼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의 사업보고서를 정정 공시한 바 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부문 부원장은 1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현안 브리핑을 열고 "한국투자증권은 회계심사에 착수했다"며 "규모나 고의성 등을 살펴보고 감리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후 과정은 좀 더 봐야 한다"고 밝혔다.

함 부원장은 "한국투자증권 같은 경우는 사이즈가 있기 때문에, 매출 자산 규모를 봐서 규모 비율을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회계심사는 공시된 자료를 확인하고 추가자료 요구, 소명 등 형태로 진행된다. 위반 혐의가 발견되면 강제성이 있는 감리조사로 전환된다. 감리조사는 감리조사서를 청구해 회계법인이 회사에 대해 감사한 내용까지 확인하는 절차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달 21일 2019~2023년 사업보고서를 정정 공시했다. 연도별 매출의 변동을 보면 △2019년 9조9236억원→9조6820억원 △2020년 15조2000억원→14조5600억원 △2021년 11조6060억원→12조4305억원 △2022년 20조8065억원→21조6689억원 △2023년 22조848억원→19조3540억원이다.

한국투자증권 측은 이러한 오류가 리테일부서와 FX(외환)부서 간 외환 거래 처리 과정에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해외 투자를 위한 환전 거래에서 발생한 손익을 매출로 잡았고, 내부 거래임에도 상계처리되지 않아 매출이 과대계상됐다는 것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이에 대해 단순 실수이며, 매출과 비용이 동일한 규모로 증가해 순이익에는 영향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금감원은 향후 심사에서 중과실이나 고의가 인정될 경우 제재 절차에 들어갈 전망이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월급 300만원으로 2년만에 1억 만들기. 어떻게 하면 될까? [알쓸차근: 월급탈출 인생수정]
네이버·토스·카카오에서 실손 보험보험 청구 한번에 가능해진다
[마감] 코스피, 美고용지표 경계감 속 3200대 제자리걸음
서울 집값 소폭 상승세 지속..공급대책 발표 주시
서울 민간아파트 ㎡당 분양가 2천만 원 첫 돌파..'국평 17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