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MBK·홈플 사태 조사 진전...기업회생절차 과정에 집중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5-03-30 13:36:53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 및 그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를 대상으로 한 조사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6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홈플러스 단기채권의 사기 발행 및 판매 혐의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업회생절차 신청 과정이 주요 검토 대상이다.

30일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인터뷰에서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 조사에 상당한 진전이 있다"며 "특히 기업 회생 절차 신청 과정을 우선적으로 살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회생절차 신청 준비 시점과 필요성 판단 시기가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강등 후 나흘 만인 지난 4일 자정께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법원은 대표자 심문 후 11시간 만에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향으로 인한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MBK파트너스는 국회에서 이사회 결의를 통해 공식적으로 회생신청을 결정한 시점은 지난 3월 3일이라고 밝혔다.

이런 준비 시점과 필요성 판단은 사기 발행·판매 혐의를 입증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 부원장 산하에 '홈플러스 사태 대응 TF'를 설립해 불공정거래 조사, 검사, 회계 감리 등을 진행 중이다.

또 지난달 신영증권과 두 개의 신용평가사를 대상으로 검사를 시작했고, 이어 MBK파트너스 및 관련사의 불공정 거래와 회계 심사도 착수했다.

 

(사진=연합뉴스)

금감원은 조만간 홈플러스 회계 심사를 강제성이 있는 감리조사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홈플러스의 회계 위반 혐의가 발견돼 감리조사에 착수하면, 감사인 등을 불러 깊이 있는 조사에 나서게 되며 이는 제재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금감원은 MBK파트너스의 계좌추적 등을 통해 MBK파트너스에 지급된 홈플러스 배당금이 어디로 흘러갔는지, 최종 정착지가 어딘지 파악 중이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월급 300만원으로 2년만에 1억 만들기. 어떻게 하면 될까? [알쓸차근: 월급탈출 인생수정]
네이버·토스·카카오에서 실손 보험보험 청구 한번에 가능해진다
[마감] 코스피, 美고용지표 경계감 속 3200대 제자리걸음
서울 집값 소폭 상승세 지속..공급대책 발표 주시
서울 민간아파트 ㎡당 분양가 2천만 원 첫 돌파..'국평 17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