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우네트워크, 정부 디지털화 수혜 기대..화웨이 리스크 검증 필요"

글로벌비즈 / 박남숙 기자 / 2023-03-31 13:05:00
출처=Yonyou Network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중국의 대표적인 클라우드 ERP(전사자원관리)기업인 용우네트워크(600588 CH)가 중국의 디지털화 정책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이나 단기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는 검증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4분기 용우네트워크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8% 감소한 37억위안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17% 하회했다. 조정 순이익은 8억위안으로 흑자 전환했다. 4분기 코로나 재확산 여파에 따른 클라우드 매출 인식 지연과 대규모 인력 채용에 따른 인건비 증가로 매출과 이익이 모두 부진했다는 평가다.

4분기 총 매출의 77%를 차지한 클라우드 매출은 28억위안으로 2022년 1~3분기 누적 전년 대비 40% 성장에서 전년 대비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둔화되었으며, 전통 소프트웨어 매출은 9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핵심 사업인 클라우드 부문은 2022년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19% 성장하며 매출 비중이 69%로 9%포인트 확대됐다. 

 

출처=하나증권

백승혜 하나증권 연구원은 "용우네트워크는 올해 중국의 디지털화 정책과 맞물려 국영기업과 대기업향 수주 증가가 기대된다"며 "최근 3년간 코로나 여파로 매출액이 한 자릿수 성장에 머물렀으나 2023년 연간 전년 대비 30%대로 반등이 전망된다"고 판단했다.

다만, 전년도 대규모 인력 확충과 R&D(연구개발) 비용 자본화 확대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와 화웨이의 시장 진출 가능성으로 경쟁 심화 우려가 확산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지난해 용우네트워크는 연간 총 4400명의 인력을 신규 채용해 전체 인력 규모는 전년대비 21% 확대되었다. R&D 비용 자본화율은 48%로 2019년 이후 가파르게 상승해 앞으로 감가상각비 증가로 반영될 전망이다.


백승혜 연구원은 "3월 현지 언론이 화웨이의 MetaERP 제품의 출시 가능성을 보도한 이후 정부와 대형 기업 노출도가 80%에 달하는 용우네트워크와의 경쟁심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며 "화웨이측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단기적으로 주가에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m)

어플

주요기사

日 주요은행, 스타트업 대상 '벤처 데트' 자금조달 확산
교세라(6971 JP), 日 항공전자(6807 JP)에 800억엔 출자…커넥터 사업 강화로 전자부품 재도약 노린다
‘사라지는 엔고(円高)’…日 금리 인상 기대 후퇴에 엔화 약세 지속
日고령자 금융소득, 의료보험료 반영 추진…최대 30배 격차 해소 나선다
센트러스에너지(LEU.N) 3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농축 우라늄 부족 수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