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쏠렸던 자금, 증시로 '머니무브'...MMF에 이달만 16조 유입

파이낸스 / 임유진 / 2023-02-10 12:54:35
사진= 연합뉴스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최근 시중 자금이 빠르게 방향을 틀어 위험자산으로 유입되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최근 시중은행들의 수신금리가 대부분 연 3%대로 내려오며 투자 매력이 급감한 영향이다.

1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들어 머니마켓펀드(MMF)로 유입된 자금은 16조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 기준 190조5천710억원이었던 MMF 설정 잔액은 열흘도 채 안 돼 지난 8일 기준 206조5천880억원까지 증가했다.

MMF로의 자금 유입 현상은 연초부터 본격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MMF 설정 잔액은 151조원대였으나 지난달 한 달 동안 39조원 이상 불어난 것이다.

MMF는 투자자 입장에서 어느 정도 수익률을 얻으면서도 언제든 환매가 가능해 통상 대기성 자금으로 여겨진다.

MMF는 만기가 짧은 국고채나 기업어음(CP) 등 단기물에 주로 투자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도 각각 4조원, 2조원씩 증가했다.

투자자예탁금도 지난해 말에는 46조4천억원 수준이었으나 지난 1일 기준 51조5천억원까지 불어났다.

 

 

사진= 연합뉴스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 규모도 올해 초에는 79조원 수준이었으나 지난 8일 기준 89조원대까지 올라섰다.

이같이 최근 시중 자금이 위험자산으로 몰려드는 것은 시중은행의 예·적금 상품 투자매력이 크게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계속되는 와중에도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는 대부분 연 3%대 중반 수준까지 빠르게 하락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과 인터넷은행의 예금 금리도 가파르게 내려오고 있어 투자자금이 은행 상품에서 이탈해 위험자산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1월 말 기준 812조2천500억원이었다.

지난해 11월 말(827조2천986억원) 정점을 찍은 뒤 두 달 새 15조원 넘게 줄어든 것이다.

알파경제 임유진 (lyjin0305@alphabiz.co.kr)

주요기사

우리금융지주, 자회사 편입 신고 누락으로 금감원 주의 조치
[마감] 코스피, 5거래일 연속 최고점 경신…3450선 육박
삼성카드 쇼핑몰, '99% 할인쿠폰' 오류…3천여건 주문 또 일방 취소
'김남구 한투 회장' 면접까지 통과했는데…미래에셋이 이직 막은 이유는?
신한은행, 韓·日 스테이블코인 송금 1단계 검증 완료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