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BA), 민수용기 인도대수 정상화 시점 주목..올해 하반기 전망"

글로벌비즈 / 김민영 기자 / 2023-06-12 11:35:55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프랑스의 에어버스와 함께 세계 민수용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과점 기업인 보잉(BA)의 실적 정상화는 민수용기 인도대수가 정상화되는 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도현 삼성증권 연구원은 "민수용기의 수요는 과거 대비 강력한 수준이나, 지속적인 생산차질 및 비용부담의 영향으로 동사의 기업가치는 펜데믹(Pandemic) 이전 대비 상당히 하락해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거듭되는 생산차질로 인해 올해 상반기 항공기 인도대수 및 현금흐름에 대한 우려가 확대된 국면이다. 그러나, 보잉의 경영진들은 작년 IR행사를 통해 제시했던 연간 항공기 인도 및 현금흐름에 대한 목표를 유지했다. 상반기 중 발생한 차질에 대해서는 하반기 생산과 인도의 정상화를 통해 만회할 수 있다는 경영진의 자신감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는 평가다.

 

김도현 연구원은 "보잉은 737-MAX의 추락사고 이후 훼손된 기업의 펀더멘털을 2025년~2026년까지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시킨다는 장기적인 계획을 추진 중으로 이 계획에 의하면 2023년~2024년 중에는 인도 대수의 정상화 및 재고 항공기의 처리가 핵심적인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통한 현금흐름의 본격적인 회복이 확인된다면, 보잉에 대한 기업고유의 리스크는 상당 폭 감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즉, 기업가치의 열쇠로 작용하는 변수는 민수용기 인도대수가 정상화되는 시점으로 이후에는 각종 차질과 관련된 비용들이 감소하면서 실적도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 가능하는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보잉의 경영진들이 올해 하반기 이후 인도 대수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면서, 2024년까지 재고 기체의 부담 또한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만큼, 기업가치를 훼손해온 차질과 비용의 압박에서 벗어가고 있는 보잉에 대해 주목할 시기"라고 조언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日 주요은행, 스타트업 대상 '벤처 데트' 자금조달 확산
교세라(6971 JP), 日 항공전자(6807 JP)에 800억엔 출자…커넥터 사업 강화로 전자부품 재도약 노린다
‘사라지는 엔고(円高)’…日 금리 인상 기대 후퇴에 엔화 약세 지속
日고령자 금융소득, 의료보험료 반영 추진…최대 30배 격차 해소 나선다
센트러스에너지(LEU.N) 3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농축 우라늄 부족 수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