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크라이나 곡물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스탄불) 박정원 특파원] '유럽의 빵 바구니'로 불리는 우크라이나의 곡물 생산량이 올해 더 감소할 것으로 보여 전 세계 식품 물가가 들썩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미콜라 솔스키 우크라이나 농업부 장관은 20일(현지시간) 해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밀 등 곡물 수확량이 작년보다 최대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최대 곡물 수출국인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2월 러시아와의 전쟁 발발 후 수출에 직격탄을 맞으며 수확량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곡물 수출국인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2월 러시아와의 전쟁 발발 후 수출에 직격탄을 맞으며 수확량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곡물보다 수출이 용이한 해바라기씨, 대두 등으로 작물을 바꿔 생산하는 농부들이 많아져 곡물 수확량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우크라이나 정부는 세계적으로 식품 가격이 오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에 우크라이나 정부는 세계적으로 식품 가격이 오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솔스키 장관은 기상 이변이 없는 한 농부들의 작물 전환 영향으로 올해 옥수수, 밀 등 곡물 생산량은 작년보다 10∼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확량은 5천300만t으로 지난 5년 평균보다 20% 줄었다. 곡물과 해바라기씨, 대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수확량은 총 6천300만t으로 전년보다 52% 감소했다.
솔스키 장관은 농부들이 작물을 전환하는 것은 수출 환경이 나빠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흑해 항구를 통한 수출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헥타르당 수확 무게를 줄여 육로 수출을 모색한다는 것이다. 육로 수출은 해상 수출보다 비용과 시간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수확량과 무게가 적을수록 유리하다.
흑해 지역 농작물 예측 업체인 '그린 스퀘어 애그로 컨설팅'의 마이크 리는 우크라이나에서 옥수수는 헥타르당 약 7t, 밀은 약 4t이 생산되는 반면, 해바라기씨와 대두는 각각 헥타르당 생산량이 2.3t으로 훨씬 적다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창구 역할을 하는 오데사 등 흑해 항구를 봉쇄해 세계 곡물 가격 급등을 초래했다.
이후 지난해 7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흑해 곡물 협정을 체결하며 우크라이나가 흑해 3개 항구를 통해 전 세계로 곡물을 수출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협정 재연장에는 러시아 측이 부정적인 입장이라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이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유럽 대부분의 국가가 우크라이나 작물에 의존하고 있는만큼 우크라이나의 작물 생산 변화는 세계 곡물 가격에 큰 변동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알파경제 박정원 특파원(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