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7일 총리 관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자민당 총재직 사임을 공식 발표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8일 보도했다.
당내에서 총재 선거 앞당김 요구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당의 분열을 막기 위해 조기 퇴진을 결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시바 총리는 사임 결정의 가장 큰 이유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 합의를 꼽았다. 그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인하를 포함한 대통령령에 서명한 것으로 하나의 경계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총리의 퇴진 표명으로 8일 예정됐던 총재 선거 앞당김 여부 판단 절차는 무산됐다. 이시바 총리는 후임을 뽑는 총재 선거에 자신은 출마하지 않겠다고 명언했다. 이에 따라 당내에서는 차기 총재를 향한 움직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자민당 모리야마 히로시 간사장은 7일 기자회견에서 "다음 총재 선거는 가능한 한 당원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형태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당 간부에 따르면 국회의원과 당원이 모두 참여하는 '풀스펙 방식' 총재 선거는 빠르면 10월 초순 실시 가능하며, 새 총리 선출까지는 약 1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시바 총리는 7월 참의원 선거에서 과반수 의석 확보를 목표로 했지만 실패했다. 연이은 선거 패배로 당내 퇴진 요구가 거세졌고, 모리야마 간사장을 비롯한 당 4역이 사퇴 의사를 표명하면서 정권 운영이 어려워진 상황이었다.
특히 6일 밤 스가 요시히데 부총재와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이 사임을 촉구하면서 총리에 가까웠던 인사들까지 등을 돌리는 상황이 벌어졌다.
구 아베파의 '정치와 돈' 문제에 대해서는 "불신을 불식시키지 못했다. 가장 큰 아쉬움"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민당이 신뢰를 잃으면 일본 정치가 안이한 포퓰리즘으로 타락할 것을 우려한다"며 당의 쇄신을 당부했다.
1년여 정권 운영에 대해서는 소수 여당 상황에서도 "성실한 국회 심의에 노력해 왔다"며 야당과 협력해 예산과 법률을 통과시킨 성과를 강조했다.
총리 주변에서는 퇴진 압력에 대한 대항책으로 중의원 해산·총선 방안이 거론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시바 총리는 "여러 가지 생각이 있었던 것은 부정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시바 내각의 지지율은 참의원 선거 후 상승했지만 당내 기반이 약해 퇴진 요구를 막지 못했다. 총리는 "국민의 생각과 당에 괴리가 있다는 것을 항상 생각해야 한다고 여겨왔다"고 발언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