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일본은행(BOJ)이 오는 18~19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현행 정책금리(0.5%)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시장은 빠르면 10월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미국의 관세정책이 일본 경제에 미칠 불확실성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5일 전했다.
동단리서치와 동단ICAP 집계에 따르면, 12일 오후 기준 시장이 반영하는 금리 인상 확률은 9월 회의 1%, 10월 33%, 12월 32%, 내년 1월 21%로 나타났다. 9월 회의에서 동결이 결정되면 일본은행은 지난 1월 인상 이후 5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하게 된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사임 표명과 차기 자민당 총재 선출 과정도 일본은행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정치권 변화에 따라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은행 관계자는 "관세로 인해 기업의 수익 계획이 어떻게 변할지, 내년 임금 인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지가 주요 관심사"라고 밝혔다.
미일 간 협상이 합의에 도달했지만, 기업들의 구체적인 계획 수정은 앞으로 지켜봐야 할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히미노 부총재는 2일 강연에서 관세의 영향에 대해 "영향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리지만, 앞으로 다가올 것이 기본"이라며 "당분간은 영향이 커질 가능성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일본은행 내부에서는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서서히 높아지고 있다. 인건비 상승을 배경으로 한 가격 인상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으며, 2026년 춘계 노사협상에서도 상당한 임금 인상이 예상된다.
인력 부족과 엔화 약세로 수출 기업들의 수익이 높은 수준을 유지해온 것도 긍정적 요인이다.
그러나 관세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견해가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다. 특히 관세 정책의 진원지인 미국 경제에서 고용 둔화가 뚜렷해지고 있어 우려를 키우고 있다.
미국 경기가 둔화되면 글로벌 경제 전체로 파급되어 일본에 대한 악영향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행 관계자들은 파월 의장이 제시할 향후 금리 인하 방침과 경제 전망에 대한 현상 인식에도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은행은 10월 1일 전국 기업 단기 경제 관측 조사(단관) 결과를 발표하고, 6일 지점장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일본은행 내부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10월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의견과 "미국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며, 서둘러 금리를 올려야 할 상황은 아니다"라는 신중론이 공존하고 있다.
일본은행의 마지막 금리 인상 결정으로부터 약 8개월이 경과했다. 금리 인상을 계속 미룰 경우 환율이 엔화 약세 방향으로 진행되어 물가 상승이 악화될 위험이 있다.
일본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을 미루는 리스크는 당연히 의식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