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장기화되는 경기 침체 속에서 개인사업자들의 신용불량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후 3개월 이상 연체해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개인사업자가 14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1년 사이 약 30%나 급증한 수치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강일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신용정보원에 등록된 개인사업자 신용유의자는 14만12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0만8817명) 대비 28.8% 증가한 수치로, 신용유의자는 금융 거래 제한 등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
특히 고령층의 신용불량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60세 이상 신용유의자는 2만8884명으로 전년 대비 47.8% 증가했다.
50대 역시 33.3% 증가했다. 이는 40대(24.2%)와 30대(17.9%)의 증가율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내수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대출 만기 연장 조치로 버티던 중장년층이 '연체의 늪'에 빠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더 큰 문제는 다중채무가 심각하다는 점이다.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 336만151명 중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171만1688명(50.9%)에 달했다.
이들이 보유한 대출 금액은 693조8658억 원으로,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 금액의 61.3%를 차지했다.
![]() |
(사진=연합뉴스) |
은행권 대출이 어려워 2금융권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는 자영업자 또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말 비은행권에서만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는 79만2899명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자영업자들의 자금난이 심화되면서 금융회사의 건전성에도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카드사의 1분기 신용카드 연체율이 약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나카드의 1분기 말 연체율은 2.15%로, KB국민카드는 1.61%, 신한카드는 1.61%로 각각 집계됐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