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딧(RDDT.N) 신제품 출시 긍정적, 美 트래픽 성장 둔화 우려

글로벌비즈 / 김민영 기자 / 2025-05-29 09:26:33
(출처=reddit)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레딧(RDDT.N)이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보수적 접근이 유효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 23일 레딧이 DPA(Dynamic Product Ads) 솔루션을 글로벌 정식 출시했다.

 

DPA는 광고주들의 제품 카탈로그에서 자동으로 정보를 가져와 실시간으로 개인화된 광고를 생성한 후, 이에 맞는 유저에게 타겟팅하는 하위 퍼널 광고 툴이다.

 

DPA는 일반 하위 퍼널 캠페인 대비 2배 이상 높은 ROAS를 보여주는 솔루션으로, DPA(베타 버전) 효과로 인해 지난 1년 간 레딧 내 제품 카탈로그 수가 4배 이상 증가했다. 

 

이성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DPA 상용 출시는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향후 레딧 인벤토리의 수요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견조한 실적 및 가이던스와 하위 퍼널 전략 강화에도 레딧의 주가는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11% 하락했다. 

 

미국 내 Logged-out DAU 성장성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1분기 실적발표에서 4월 DAU가 Highteens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미국 외 DAU가 20~30% 성장세(완만한 둔화)를 보인다고 가정할 시 미국 DAU가 플랫(flat) 혹은 역성장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이란 지적이다.
 

레딧 종목진단 (출처=초이스스탁)

 

이성원 연구원은 "이러한 트래픽 부진은 구글 알고리즘 변동을 넘어서 검색 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구글이 ‘AI 검색 모드’를 출시하면서 반격에 나서는 모습인데, 오히려 레딧 페이지로의 클릭에 대한 필요성이 낮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원은 "상장 이래 레딧이 보여준 광고 사업 퍼포먼스는 굉장하지만 성장 초기에 있는 레딧에게는 DAU 성장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전체, 미국, 미국 외 2분기 DAU 성장률 컨센서스는 21%, 11%, 31%인데, 현재 나타나는 여러 시그널들을 고려하면 트래픽에 대한 기대치가 한번 더 낮아질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이 연구원은 "연내 자체 검색 서비스인 Reddit Answers의 상용 출시를 통해 트래픽 반등의 실마리가 확인되기 전까지는 레딧에 대해 보수적인 접근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주요기사

현대차·LG 공장 불법체류자 475명 체포…트럼프 "이민국 할일 한 것" 입장 밝혀
美, 현대차-LG엔솔 조지아주 합작 배터리 공장 급습…"한국인 30명 등 450명 체포"
브로드컴(AVGO.O), 분기 매출 '사상 최대치' 기록...AI 반도체 매출 수혜
리비안(RIVN.O), 연이은 감원 단행..."R2에 사활 건다"
허니웰(HON.O) 자회사 퀀티넘, 엔비디아(NVDA.O) 등 대규모 투자 확보…IPO 준비 박차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