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NVDA.O), 엔파브리카 네트워킹 기술 도입…'슈퍼컴퓨터급 AI 인프라 확장'

글로벌비즈 / 김지선 특파원 / 2025-09-22 07:58:30
엔비디아 AI칩. (사진=엔비디아)

 

[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엔비디아가 반도체 스타트업 엔파브리카의 최고경영자 로찬 산카르와 핵심 직원들을 영입하고, 10만 개 이상의 GPU를 통합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엔파브리카의 기술을 라이선싱하는 데 9억 달러 이상의 계약을 체결했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 거래는 지난 주 현금과 주식으로 최종 확정됐으며, 산카르는 이미 계약의 일환으로 엔비디아에 합류했다. 

 

이번 인수는 엔비디아의 역대 최대 규모 인수형 채용 거래 중 하나로, 엔비디아는 최고 인재와 첨단 네트워킹 기술을 동시에 확보하게 됐다. 

 

또한 엔비디아의 이번 조치는 긴 규제 심사를 거치지 않고 엘리트 AI 인재를 확보하려는 경쟁사들의 인수합병 움직임을 반영한다.

 

엔비디아는 AI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2019년 멜라녹스, 2024년 런에이아이 등 선별적 인수를 진행해왔으나, 대규모 인수합병에서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지난 6월 캐나다 AI 스타트업 센트엠엘을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해당 기업의 CEO 게나디 페키멘코를 AI 소프트웨어 부문 수석 이사로 임명했다.

 

엔파브리카(Enfabrica) ACF 칩.(사진=엔파브리카)
 

8월에는 엔비디아가 커먼웰스 퓨전 시스템즈의 8억 6,300만 달러 신규 자금 조달 라운드에 참여하며 구글과 빌 게이츠 등 기존 투자자들에 합류했다.

 

주중에는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 달러 규모의 지분 투자를 공개하고 AI 프로세서 공동 개발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번 주 영국 데이터센터 스타트업 엔스케일에 약 7억 달러를 투자한 사실도 확인했다.

 

엔파브리카는 2019년 설립된 데이터센터용 네트워킹 칩 개발업체로 대규모 GPU 클러스터를 단일 컴퓨터처럼 운영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러한 기술은 AI 인프라 수요 급증에 대응해 데이터센터 서비스를 확장 중인 엔비디아에게 핵심적이다.

 

엔비디아는 엔파브리카의 네트워킹 기술을 라이선스함으로써 랙을 넘어 수십만 개의 GPU를 연결한 슈퍼컴퓨터 규모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게 됐다. 

 

엔비디아 주가는 176.67달러를 기록하며 거의 보합세를 보였다. 

 

알파경제 김지선 특파원(stockmk2020@alphabiz.co.kr)

주요기사

후지필름(4901 JP), 미국 최대급 바이오의약품 공장 개소
소프트뱅크G(9984 JP), 일본 시총 2위 등극
도요타(7203 JP) ‘우븐 시티’ 본격 가동...세계 최초 도시규모 자율주행 실험장
스미토모화학(4005 JP), 미국 반도체 재료 생산 확대
네비우스그룹(NBIS.N) 엔비디아와 MS가 선택한 기업..추가 계약 가능성 존재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