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클인터넷그룹(CRCL.N) 글로벌 결제 인프라, 점유율 확대 주목

글로벌비즈 / 김민영 기자 / 2025-09-23 07:38:20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써클인터넷그룹(CRCL.N)이 USDC 채택 확산 및 우호적인 규제 환경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수익성보다는 네트워크 성장, 시장 내 점유율 확대에 초점을 맞춘 전략이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써클인터넷그룹(이하, 써클)의 주가는 가격조정 후 기간조정 구간에 진입해있다.

박현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USDC 시총 대비 서클의 시총 비중이 35~40%을 이탈하는 구간에서는 분할 매수로 대응을 추천한다"며 "중장기 비중확대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써클의 2분기 USDC 유통량(평잔) 및 준비금 수익률은 각각 610억 달러와 4.14%를 기록했다.

 

스테이블코인 내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며 유통량은 고성장 중이란 평가다.

 

박현우 연구원은 "다만 준비금 수익률 하락 및 유통 및 거래비용 증가로 마진률이 하락했다"며 "기존 코인베이스 외에도 바이낸스, OKX 등 주요 거래소와도 파트너십을 확대한 결과 수익공유 부담이 점증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 지속되는 가운데 당장엔 영업레버리지 축소가 불가피하나 ‘규모 → 신뢰 → 유통채널 확산’이라는 선순환 구조가 확립되어가는 과정이란 분석이다.

 

써클 종목진단 (출처=초이스스탁)

 

써클은 2025년 가이던스로 USDC 유통량 CAGR 40%, 기타수익 7500~8500만 달러, RLDC 마진(준비금수익-유통/거래비용) 36~38% 등을 제시했다.

2분기 기타수익은 2.4억 달러로 전년 대비 252% 증가, 영업수익 내 3.6% 수준이다.

 

박현우 연구원은 "결국 수익 다각화를 위해서는 써클이 제공하는 CPN(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CTTP(체인 간 전송), Arc(블록체인 Layer 1) 등의 서비스매출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며 "준비금수익 중심 모델에서 글로벌 결제/토큰화 인프라 기업으로의 도약이 써클의 중장기 전략"이라고 판단했다. 

 

결제와 송금 등 자본시장 인프라로서 역할에 주목해야 할 때란 조언이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주요기사

이베이(EBAY.O), 타이즈 인수로 소셜 커머스 확대…Z세대 공략 본격화
엔비디아(NVDA.O), 오픈AI에 최대 1천억 달러 투자…인텔 투자 이어 초대형 협력 행보
스텔란티스, 지프 글래디에이터 출시 계획 공식 철회…전기차 수요 직격탄
스위스 제약업계, 美 관세 위기 논의 위해 정부와 회동
EU, 공항 마비 원인 '랜섬웨어 공격' 확인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