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8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며 직장이나 사업체를 운영하는 기혼 여성의 비중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가 확대되면서 전통적인 '아빠는 일하고 엄마는 아이를 본다'는 육아 인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올해 상반기 기준, 미성년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기혼 여성(15~54세)의 경력단절 비율은 21.3%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하락하며 2014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경력단절여성은 결혼,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취업 여성을 의미합니다.
전체 15~54세 기혼 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110만 5000명으로 전년보다 11만 명 감소했으며, 비율 역시 14.9%로 1.0%포인트 하락했습니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이런 수치 개선에 대해 "육아, 출산, 돌봄 등 정부 정책 지원 확대와 보육 서비스 확충, 노동시장 참여 확대 정책이 복합적으로 기여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40~44세에서 경력단절 규모가 30만 5000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경력단절 비율은 출산 및 육아 부담이 집중되는 30~34세 여성이 21.8%로 가장 높게 나타나 해당 연령층의 경력 이탈 위험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15~54세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전년 대비 1.3%포인트 상승한 67.3%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64.3%로, 10명 중 6명 이상이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2016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입니다. 혼인 감소로 기혼 여성 수는 줄었지만, 취업자 수 증가가 고용률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것이 국가데이터처의 분석입니다.
자녀 수와 관계없이 모든 자녀 연령대에서 기혼 여성 고용률은 개선됐습니다.
특히 경력단절 위험이 높은 시기로 꼽히는 6세 이하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57.7%로 전년 대비 2.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13~17세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처음으로 70%를 넘어섰습니다.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사유로는 육아가 44.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결혼(24.2%), 임신·출산(22.1%)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30~39세 여성의 경우 육아와 임신·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 비중이 높아, 돌봄 부담이 여성에게 집중되는 구조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과제로 지적됩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