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한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각)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로 향하는 공군 1호기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캐나다에서 17일 예정됐던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조기 귀국으로 무산됐다고 대통령실이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귀국하게 돼 내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은 어렵게 됐다"고 전했다.
위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귀국 배경에 대해 "이스라엘과 이란의 군사적 충돌 문제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며 "원래 다자회의를 계기로 한 정상회담에는 이런 일들이 간간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측은 상황 발생 전 한국 측에 양해를 구하는 연락을 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위 실장은 "미국 측으로부터 이같은 상황이 생긴 언저리에 저희에게 양해를 구하는 연락이 왔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결례가 되는 상황은 아니었다"며 "미국에서도 결정이 급박히 이뤄진 것 같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에게는 미국 측 연락을 받은 직후 보고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귀국 소식은 이 대통령이 현지 리셉션에 참석할 때쯤 전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17일로 잡혀있던 미국과 호주 간 정상회담도 함께 취소된 상황이어서 이 대통령과 호주 총리가 이와 관련해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대통령실은 가장 빠른 계기를 찾아 한미정상회담을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한 논의가 외교채널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가 차기 한미정상회담의 가능한 계기로 거론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나토 회의에 가게 될 경우 그렇게 될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이번 회담 무산으로 인한 관세 협상 차질 우려에 대해서는 "양측간 실무협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부장급 차원에서도 교감하며 대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번에 정상회담이 이뤄졌다면 실무협상이 더 추동력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으나, 이른 시일 안에 정상 간 회동이 다시 성사되면 보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미정상회담은 무산됐지만 17일 오후로 예정된 한일정상회담은 계획대로 진행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일관계는 과거사 등 미묘한 문제가 있지만 미래를 향해 협력해야 한다는 과제도 있다"며 "건설적이고 선순환적인 분위기 속에서 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ce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