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게임산업, 내수시장 한계 극복 나서...앞다퉈 해외진출 모색

인더스트리 / 차혜영 기자 / 2024-05-02 17:46:57
(사진= 연합뉴스)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내 게임 업계가 실적 악화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국내 게임사들은 해외 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과 일본은 물론 인도, 북미, 대만,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에서 현지화된 콘텐츠를 개발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넷마블은 MMORPG '아스달 연대기: 세 개의 세력'을 한국과 대만, 홍콩, 마카오에 동시 출시할 예정이다.

또 이달 8일 액션 RPG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를 전 세계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크래프톤은 2021년에 인도법인설치하고 성장가능성이 큰 인도 시장을 집중 공략 중이다.

 

(사진=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베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에 이어 최근 인도에서 현지 맞춤형 버전인 PvP 배틀로얄 슈터 '불릿 에코 인도'를 출시했다.

크래프톤은 인도에서의 성공적인 시장진출을 통해 장기적으로 동행할 게임회사 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있다고 전했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한계가 있는 내수시장에서 세계로 눈을 돌려야한다" 며 "자사는 세계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전력이 있어 글로벌 스탠다드로 가는것이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카카오게임즈도 '아키에이지 워'를 9개 해외 지역에 정식 론칭하고 '오딘: 발할라 라이징'의 북미와 유럽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컴투스 역시 폴란드 개발사와 협업해 '프로스트펑크' 모바일 버전을 해외에 선보이는 등 글로벌 사업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국내 게임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게임사들은 해외 시장 개척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고 입을 모은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개발 단계부터 글로벌 출시를 염두에 두는 추세"라며 "내수 시장의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해외 진출이 더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주요기사

GS건설, 교보문고와 함께 입주민 전용 ‘큐레이션 전자도서관' 선보여
소노인터내셔널, 5성급 프리미엄 리조트 ‘소노캄 경주’ 리뉴얼 오픈
LG전자, 사우디 정부와 네옴시티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협력 논의
[정정보도] '네이버 위믹스 전액손실…전 CFO 차익 의혹' 관련
경영분쟁 콜마비앤에이치, 윤상현 부회장 사내이사 선임안 통과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