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게임산업, 내수시장 한계 극복 나서...앞다퉈 해외진출 모색

인더스트리 / 차혜영 기자 / 2024-05-02 17:46:57
(사진= 연합뉴스)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내 게임 업계가 실적 악화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국내 게임사들은 해외 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과 일본은 물론 인도, 북미, 대만,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에서 현지화된 콘텐츠를 개발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넷마블은 MMORPG '아스달 연대기: 세 개의 세력'을 한국과 대만, 홍콩, 마카오에 동시 출시할 예정이다.

또 이달 8일 액션 RPG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를 전 세계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크래프톤은 2021년에 인도법인설치하고 성장가능성이 큰 인도 시장을 집중 공략 중이다.

 

(사진=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베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에 이어 최근 인도에서 현지 맞춤형 버전인 PvP 배틀로얄 슈터 '불릿 에코 인도'를 출시했다.

크래프톤은 인도에서의 성공적인 시장진출을 통해 장기적으로 동행할 게임회사 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있다고 전했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한계가 있는 내수시장에서 세계로 눈을 돌려야한다" 며 "자사는 세계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전력이 있어 글로벌 스탠다드로 가는것이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카카오게임즈도 '아키에이지 워'를 9개 해외 지역에 정식 론칭하고 '오딘: 발할라 라이징'의 북미와 유럽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컴투스 역시 폴란드 개발사와 협업해 '프로스트펑크' 모바일 버전을 해외에 선보이는 등 글로벌 사업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국내 게임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게임사들은 해외 시장 개척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고 입을 모은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개발 단계부터 글로벌 출시를 염두에 두는 추세"라며 "내수 시장의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해외 진출이 더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
카카오 책임경영 담당 임원, 자녀 결혼식에 직원 동원해 논란
봉화·태백·석포 주민들, UN에 '진짜 목소리' 들어달라 서한... "환경 개선 체감, 생존권 위협"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앞세워 지스타 현장 장악
홈플러스, 하림과 공동기획 '마제소바 라면' 출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