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종효 기자] 지난 6일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가 주식 공모를 통해 약 112억 달러(한화 약 15조297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이번 자금 조달은 사우디 정부가 추진 중인 대규모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석유 의존적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아람코는 투자자들에게 주당 27.25 사우디리얄(약 9926원)로 공모가를 책정할 예정이며, 이는 당초 설정된 목표 가격 범위인 주당 26.7~29리얄(약 9726~1만564원) 내에 위치한다.
이번 거래는 2021년 리비안 상장 이후 가장 큰 규모의 거래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람코 주식은 사우디 리야드 증시에서 지난 거래일 마감 기준으로 주당 28.3사우디리얄(약 1만309원)를 기록, 최근 한 주 동안 약 2.4%의 하락세를 보였다.
오는 9일부터 시작될 이번 매각 물량에 대한 거래는 이미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지난 2일에는 사우디 정부가 보유한 아람코 주식 중 전체 지분의 0.64%에 해당하는 약 15억4500만주가 수 시간 만에 모두 판매됐다.
WSJ의 분석에 따르면, 아람코 주식은 다른 동종 업체들과 비교해 배당 수익률이 높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시장조사업체 팩트셋 기준 지난달 말 아람코의 배당 수익률은 약 6.6%로 셰브런과 엑손모빌의 배당 수익률을 상회한다.
사우디 정부는 이번 매각 대금을 신도시 네옴 시티 프로젝트와 인공지능(AI), 스포츠, 관광 등 다양한 산업 발전을 위해 사용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은 천문학적인 금액이 필요하며, 아람코로부터 확보된 자금은 이러한 압박을 완화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19년 기업공개(IPO) 당시 약 294억 달러(약 40조1545억원)를 조달한 바 있는 아람코는 사우디 정부가 여전히 지분의 82%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매각 후에도 최대 주주 위치를 유지할 예정이다.
나머지 지분은 사우디 국부펀드인 PIF와 일반 투자자들이 소유하고 있다.
알파경제 김종효 기자(kei1000@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