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카카오모빌리티 회계 조작 혐의 결론 임박

파이낸스 / 김종효 기자 / 2024-07-29 15:13:55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종효 기자] 카카오그룹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분식회계 혐의로 금융당국의 주시를 받고 있다. 

 

이는 국내 최대 메신저 서비스 제공업체인 카카오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특히 그룹 창업주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구속되며 다시금 도마에 올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소비자들이 모바일 앱을 통해 호출 가능한 '카카오 T 블루' 가맹 택시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으로, 시민들에게 필수적인 이동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도시 생활에 깊숙이 자리잡았다. 

 

그러나 이번 회계 조작 혐의는 카카오모빌리티가 그동안 콜 몰아주기, 불공정 계약 등 다양한 법적 논란에 휩싸여 있던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으로 보여진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곧 이 문제에 대해 재심의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그간 카카오모빌리티가 얼마나 큰 규모로 분식회계를 진행해왔는지, 그리고 그 배경에 어떤 의도가 있는지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요구된다.

 

분식회계 의혹의 핵심은 이중 계약 구조로, 카카오모빌리티와 그 자회사 간 복잡한 금전 거래가 포함되어 있다.

 

비판자들은 이러한 구조가 실질적인 경제 활동보다는 회사 가치를 부풀려 상장 과정에서 이득을 보려는 시도라고 지적한다.

 

하지만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해당 계약 구조가 택시 용역 정보 수집과 같은 정당한 목적을 위해 필요하다고 반박한다. 

 

이 정보는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량 관련 연구에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감독원과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카카오모빌리티가 축적한 데이터와 기술 개발 사례를 보면,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일각에서는 여전히 수수료 청구 방식 등 일부 접근 방법이 법률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한다.

 

앞으로 진출할 예정인 다양한 분야에서도 카카오그룹과 그 계열사들이 얼마나 투명하고 정직하게 용역 및 서비스를 제공할지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알파경제 김종효 기자(kei1000@alphabiz.co.kr)

주요기사

금감원 노조-이찬진 첫 면담서도 평행선…투쟁 지속 예고
신한금융지주 "롯데손보 인수 추진 보도 사실무근"
[마감] 코스피,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행진…3400선 턱밑 마감
수도권 135만세대 공급?! 9.7 부동산 대책 핵심 정리! : [부동산 정책 브리핑:복테크] 알파경제 tv
9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 소폭 상승..9·7 공급 대책 반응 부족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