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근 인적분할 결정에 대해 삼성그룹 차원의 투명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23일 밝혔다.
포럼 측은 이번 분할이 그룹 전체의 의사결정 구조 개편에 미치는 영향과 이재용 회장을 비롯한 주요 주주들에게 미치는 유불리에 대한 명확한 정보 공개를 촉구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생산(CDMO) 사업부를 존속시키고,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 개발 자회사인 '바이오에피스'를 지주회사 '바이오에피스홀딩스'에 이관하여 분리하기로 결정했다.
회사 측은 위탁생산 사업부의 고객사가 바이오에피스의 경쟁사인 경우가 있어 이해상충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분할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거버넌스포럼은 인적분할의 직접적인 사유는 이해하나, 이번 분할이 삼성그룹 전체의 거버넌스 개편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재용 회장이나 삼성물산, 삼성전자에 대한 유불리가 무엇인지 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시장의 혼란을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포럼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그룹 차원의 결정이 아니었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집단 내 중요한 거래인 만큼 결정 주체와 의사결정 목적, 관련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인 바이오에피스의 상장 효과가 발생하는 만큼, 이 결정이 삼성물산 및 삼성전자와의 협의 없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비상식적이라는 주장이다.
삼성물산과 삼성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분을 각각 43%와 31% 보유하고 있다.
거버넌스포럼은 "이러한 기업집단 차원의 의사결정이나 이해관계 문제 공개가 국내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라며 "공정거래법이 기업집단의 규모와 경제력 집중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포럼은 법제화를 통해 '그룹 차원의 결정'을 내리는 주체를 규정하고, 의사결정 과정에서 개별 회사의 일반 주주와 채권자를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거버넌스포럼 관계자는 "이번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분할이 단독으로 결정되기 어려운 사안임에도, 시장에는 그룹 차원의 의사결정 과정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정보 투명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정 회사에만 불리함이 생길 수 있는 그룹 내 결정에 따라 일반 주주나 채권자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라면서 "이번 분할의 핵심은 어떤 내용이 결정됐는지가 아니라, 그 결정이 어떻게, 누구에 의해 이루어졌는지를 투명하게 설명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