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전국 14개 공항의 항공편 지연율이 최근 4년간 약 5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이 21일 한국공항공사와 한국소비자원에서 제출받은 자료 분석한 결과 전국 14개 공항의 항공편 지연율은 2020년 4.3%에서 2024년 21.3%로 급등했다.
2021년 6.7%, 2022년 7.7%에서 2023년 22.7%로 정점을 기록한 뒤 지난해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8월까지 지연율이 18.7%에 달해 개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024년 기준 공항별 지연율을 보면 포항·경주공항이 33.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사천공항 32.6%, 군산공항 30.3%, 원주공항 26.7% 순으로 지방공항의 지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주요 거점공항인 제주공항(22.2%), 김포공항(22.0%), 김해공항(19.8%)도 20% 안팎의 높은 지연율을 기록했다.
항공편 지연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소비자상담센터(1372)에 접수된 항공편 지연 관련 상담은 4733건에 달했다.
같은 기간 한국소비자원에 피해구제를 신청한 건수는 1385건으로 집계됐다. 2021년 30건에서 2024년 524건으로 급증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만 315건이 접수됐다.
피해 유형으로는 숙박비·교통비 배상, 항공권 환불, 위약금 감액, 대체편 제공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현행 제도상 항공편 지연에 대한 관리와 보상 체계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미국은 지연 발생 항공사에 운수권과 시간대 배정에 불이익을 주고 있고, 일본도 공항 혼잡 관리 체계 및 배상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연 기준을 '15분 초과'로 강화하는 데 그쳤을 뿐 항공사에 대한 실질적 제재나 승객 보상 체계는 사실상 공백 상태다.
배준영 의원은 "항공기 지연은 단순히 출발이 늦는 불편이 아니라 국민 생활과 경제활동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며 "지연이 반복되는 항공사에 대해서는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승객이 정당하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