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우주청 공식 출범, 새 시대의 서막

인더스트리 / 김영택 기자 / 2024-05-27 10:26:31

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사진=우주청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우리나라에서도 27일부로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이 새로운 장이 열린다.

 

공식 개청 행사는 5월의 마지막 주에 예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날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이번 개청은 국내외적으로 큰 주목을 받으며, 과학기술계에서는 우주청의 업무 구조와 R&D 역할에 대해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우주청은 7국 27과 체제로 구성되어 있으멀, 청장 아래 차장 및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이 중추적인 업무를 담당한다.

 

청장 윤영빈 교수, 차장 노경원 연구개발정책실장, 그리고 우주항공임무본부장으로는 NASA 출신 존리가 임명됐다.

 

각 부문별로 발사체와 인공위성, 우주탐사 및 항공 혁신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다.

 

소속 기관으로는 제주에 위치한 국가위성운영센터와 우주환경센터가 확정됐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 한국천문연구원(KASI)도 새로운 조직 체계 아래 편입됐다. 

 

사진=우주청

그러나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 예산은 여전히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대비하여 볼 때 미국, 중국, 일본 등 글로벌 선도 국가들과 비교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다.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예산을 대폭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추가 인력 선발과 정체성 확립, 지역별 업무 혼선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산적해 있다.

 

개척자 정신을 바탕으로 새롬게 도약하는 사천시는 이번 우주청 설립을 통해 지역 혁신 모델을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형 추진단장은 "5~10년 후 사천시의 크나큰 성장"을 자신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연구자는 "산업부 관련 부서의 작은 규모와 함께 결국 과기정통부 산하로 넘어온 상황"에 대하여 언급하며 기존 구조 내에서의 조정 필요성을 시사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주요기사

현대차, 부품사 모트라스 파업에 울산공장 생산 차질
SK하이닉스,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2655억원 조기 지급
[기업평판] SK하이닉스, 신고가 경신 후 매수 적기인가 : 알파경제TV
한온시스템 증자 발표, 실적 회복 속도가 관건
펄어비스 '붉은사막', 2026년 3월 19일 출시 확정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