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부침을 거듭해온 미중 관계가 다시금 갈등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당초 오는 31일(현지시간)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나 '관세 휴전 연장' 등을 논의할 예정이었으나, 상황이 급변하며 회담 개최 여부마저 불투명해졌다.
이런 긴장 고조의 배경에는 중국이 꺼내 든 희토류 수출 통제 카드가 자리하고 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대규모 관세 인상을 포함한 보복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선언하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APEC 계기 시 주석과의 회담 필요성이 사라졌다며 회담 취소 가능성을 시사했다.
최근 미중 간에는 심상치 않은 움직임이 연이어 포착되었다. 중국은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한 데 이어, 지난 9일 희토류 합금 수출 통제 강화 방침을 발표했다.
또한 14일부터는 미국 관련 선박에 대해 순(Net ton)당 400위안(약 8만원)의 '특별 항만 서비스료'를 부과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미국이 14일을 기준으로 중국 선박에 t당 50달러(약 7만1천원)의 입항료를 부과하고 점진적으로 인상하겠다는 방침에 대한 맞대응 성격으로 풀이된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의 자동차 반도체 설계 회사 '오토톡스'(Autotalks) 인수에도 제동을 걸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반면,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싱가포르, 미국 등에 본사를 둔 네트워크 장비 업체 'TP-링크'의 미국 영업 제한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해당 업체와 중국 정부 간의 관계에 대한 의혹에 기반한 조치다. 또한, 미국 교통부는 미주 노선을 운항하는 중국 항공사의 러시아 영공 비행 금지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양측의 이런 움직임은 정상회담을 앞둔 '샅바싸움'의 양상으로 비춰졌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10일 강경 발언으로 인해 분위기가 급격히 냉각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일련의 조치 중 희토류 수출 통제 문제를 특정해 거론한 것은, 중국이 미중 간 관세 휴전 합의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