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설치된 ATM기기에서 시민들이 은행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금융지주회사들이 지난해 거둔 순이익이 24조원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이 16일 발표한 '2024년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 잠정치(연결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0개(KB, 신한, 하나, 우리, NH, iM, BNK, JB, 한투, 메리츠) 금융지주의 연결당기순이익은 23조8478억원으로, 전년(21조5246억원) 대비 10.8%(2조3232억원)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2021년부터 3년 연속 21조원대를 유지하다가 작년에 23조원대로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은행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9628억원(6.3%) 늘었고, 보험이 5516억원(16.5%), 금융투자가 4225억원(15.2%) 증가했다. 반면 여전사 등(카드·캐피탈·저축은행 포함)은 1591억원(-5.8%) 감소했다.
이익 비중(개별당기순이익 기준)은 은행이 59.8%(16조3000억원)로 가장 높았으며, 보험 14.3%(3조9000억원), 금융투자 11.7%(3조2000억원), 여전사 등 9.4%(2조6000억원) 순이었다.
작년 말 금융지주의 연결총자산은 3754조8000억원으로, 전년 말(3530조7000억원)보다 6.3%(224조원) 증가했다.
총자산 대비 권역별 자산 비중은 은행이 74.9%로 가장 많았고, 금융투자 10.8%, 보험 6.7%, 여전사 등 6.3% 순이었다.
자산 증가액도 은행이 167조1000억원(6.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금융투자 40조1000억원(11.0%), 보험 12조7000억원(5.3%), 여전사 등 4000억원 순이었다.
자본 적정성 지표를 살펴보면 은행지주의 총자본, 기본자본, 보통주 자본비율은 각각 15.67%, 14.55%, 12.84%로 전년 말보다 모두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규제비율(D-SIB)인 총자본 12.5%, 기본자본 10.5%, 보통주 자본비율 9.0%는 모두 상회했다.
금융지주의 고정이하여신비율(부실채권 비율)은 0.90%로 전년 말(0.72%)보다 0.18%포인트 상승했다. 손실흡수능력 지표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22.7%로 전년 말(150.6%)보다 27.9%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말 기준 금융지주의 부채비율은 28.2%로 전년 말(27.2%)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자회사 출자여력 지표로 활용되는 이중레버리지비율(자회사 출자총액/자본총계)은 113.3%로 전년 말(114.2%)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금융지주의 자산성장세는 지속되고, 당기순이익은 은행·금융투자·보험 권역에서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자본적정성 등 주요 경영지표는 양호하지만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상승하는 등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소서민 등 취약차주 보호, 대체투자 익스포저 관련 금융지주 차원의 관리 강화 및 손실흡수능력 제고 등을 지도할 것"이라며 "상호관세 등 예상치 못한 환경변화에 대비해 금융안정 및 경제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금융지주의 금융지원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