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의하면 미국 백악관이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10월 1일부터 발동하는 100% 의약품 관세와 관련해 일본과 유럽연합(EU)에는 무역 협상 합의에 따른 부담 경감 조치를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일본과 EU산 의약품의 관세 부담률은 최대 15%로 제한될 전망이다.
미국 백악관 관계자는 26일 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어떠한 무역 협상에서 합의된 분야별 관세 상한 세율도 존중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관세 경감 조치가 발동과 동시에 시행될지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10월 1일부터 일부 해외산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세부 사항은 대통령령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일본은 지난 7월 미국과 합의한 공동성명에서 자국산 의약품에 대해 ‘최혜국 대우’를 적용, 모든 국가·지역 중 최저 세율을 보장받기로 했다.
EU 역시 8월 미·EU 합의 공동성명에서 “EU산 의약품의 관세는 기존 세율과 분야별 관세를 합쳐 최대 15%”라는 조건을 명시했다. 일본 정부는 최혜국 대우 원칙에 따라 동일한 상한 규정이 자국에도 적용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백악관도 합의 이행 의지를 드러내면서 일본과 EU산 의약품은 100% 고율 관세를 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제약업계 역시 관세 충격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내에서 생산시설을 건설하는 기업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유럽 주요 제약사들은 이미 미국 현지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 기업들도 해외 거점에서 수입하던 물량을 현지 생산으로 전환하고 있다.
미국 제약 대기업 일라이 릴리는 지난 23일 텍사스주에 의약품 원재료 제조시설을 착공한다고 발표했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도 “오랜 시간 미국 내 생산 능력을 구축해왔기 때문에 추가 관세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