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회계 논란, '삼성생명법' 재점화 가능성

파이낸스 / 차혜영 기자 / 2025-09-30 08:51:44
금융권, 계약자 지분 조정 후에도 '일탈 회계' 논란 지속 전망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금융권에서는 금융 당국의 계약자 지분 조정 결론 발표 이후에도 삼성생명의 회계 처리 방식에 대한 논란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보험업권의 주식 보유 한도 계산 시 특례를 폐지하는 이른바 '삼성생명법' 논의가 국회에서 다시 불붙을 가능성 때문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현재 계열사인 삼성전자 주식의 8.51%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26일 종가 기준 약 41조 9633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또한, 15.43%의 지분을 가진 자회사 삼성화재 역시 삼성전자 주식의 1.49%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지분 구조는 삼성생명이 1980년대 유배당보험 상품 판매를 통해 확보한 약 5444억원의 보험료를 활용해 삼성전자와 삼성화재 주식을 매입하고, 이를 그룹 지배구조의 핵심 연결고리로 삼았다는 점에서 '특혜 논란'을 야기한다.

현행 보험업법은 보험사의 계열사 주식 투자를 총자산의 3%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삼성생명의 총자산 규모가 319조원임을 고려할 때, 시가 기준 삼성전자 지분 가치는 3% 규제를 훨씬 초과하여 법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주식 보유는 현행법상 위법이 아니다. 보험업법 세부 조항에 따라 계열사 주식 보유액을 '취득 원가' 기준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과거 주당 약 1071원 수준의 취득 원가로 매입한 삼성전자 주식은 삼성생명 장부상 5444억원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런 평가 기준을 시가로 전환하자는 주장이 바로 '삼성생명법'으로, 더불어민주당 일부와 진보 진영에서 꾸준히 제기해왔다.

만약 법 개정이 이루어진다면, 삼성생명은 총자산의 3%인 9조 5700억원을 초과하는 32조원 이상의 주식을 매각해야 할 상황에 놓인다.

이는 삼성그룹 전체의 지배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다.

실제로 관련 법 개정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은 지난 2월, 보험사가 계열사 주식·채권을 취득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하도록 하는 보험업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차 의원 측은 다음 달 예정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을 증인으로 신청했으나, 국회 정무위원회 증인 채택 명단에는 홍 사장의 이름이 포함되지 않았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주요기사

악성 미분양 증가세 지속..2만 7천여 가구에 달해
유진투자증권, 수도권 WM 핵심 거점 '여의도WM센터' 출범
토스, ‘신용회복 대상자 조회 서비스’ ...324만명 대상 정부 신용회복 지원
금융권, 석화업계 금융지원 협의...사업재편 계획 보강 요구
ADB,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0.8% 성장 전망 유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