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미 관세 협상카드로 군산항 미해군 MRO 기지 만든다

폴리이코노 / 김종효 기자 / 2025-07-25 08:09:27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종효·박남숙·김민영 기자] 한미 관세 협상이 초미 관심사로 떠오르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군산항에 미해군 MRO(Maintenance·유지, Repair·보수, Operation·운영) 기지 건설’을 협상카드로 꺼내든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알파경제의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명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요청에 발맞춰 우리나라 군산항에 구축함이나 순양함, 잠수함 등을 포함한 미 해군의 함정 수리와 정비 등이 가능한 MRO 전용 기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 협상을 잘 아는 복수의 정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트럼프 정부에서 서해에 미해군 MRO 기지 조성이 가능한 항구를 요구했다"면서 "최종적으로 조성 가능한 서해항이 군산으로 결정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미국은 오랜 숙원 사업인 조선업 재건을 위해 한국과의 협력 강화에 힘을 쏟는 분위기다. 특히 한·미 간 군함 분야(MRO) 협력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화오션이 처음으로 미 해군 함정 MRO 사업 수주한 월리 쉬라 호. (사진=연합뉴스)

최근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 군함 3척에 대한 MRO(유지·보수·정비) 사업을 연달아 수주한 바 있다.

미 상·하원은 전투함 및 지원함 건조에 사용할 국방예산 200억달러(약 28조원) 세부 집행을 논의 중이다.

무엇보다 미국이 서해에 미해군 MRO 기지 조성을 요청한 건 중국의 군사적 부상을 견제하는 동시에 동남국해에 이르는 해상루트(Sea lane)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중간 해양패권 다툼이 더해지는 상황에서 군산항에 미해군 MRO 기지 건설을 관세 협상카드로 활용하는 건 신의 한수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군산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에 특수목적선 및 정비산업(MRO) 육성, 중소 조선사 지원 강화 등을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

현재 전북도와 군산시가 군산항 7부두 일대에 구축을 추진 중인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조성 사업’과 연계, 활용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다만, 군산항에 미해군 MRO 기지 건설이 현실화할 경우 중국의 거센 반발이 우려된다.

강관우 전 모건스탠리 이사 겸 더프레미어 대표이사는 "군산에 미해군용 MRO 기지가 들어선다는 것은 HD현대 등이 선체만 수리 건조한 뒤 군사기밀인 무기체계나 운용시스템 등은 미국 측이 직접 운용하는 구조가 유력하다"면서 "이 같은 이원화 구조는 미 해군함정 정비와 건조를 더 신속하고, 대량으로 추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알파경제 김종효 기자(kei1000@alphabiz.co.kr)

주요기사

李 대통령 "美 구금 사태, 큰 책임감 느껴…부당한 일 재발하지 않길"
[속보] 李 대통령, 여야 대표 오찬 회동서…”국민 통합이 최대 책무…목소리 경청할 것”
트럼프 대통령, 10월 APEC 참석 준비…한·미·중 정상회담 가능성 주목
李 대통령, 정청래·장동혁과 오찬 회동…첫 野대표 단독 면담도
노만석 검찰총장 대행 "검찰청 폐지…검찰 잘못 깊이 반성"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