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다주택 논란 끝에 서울 서초구 우면동 아파트 한 채의 매물 가격을 4억원 낮췄고, 같은 날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2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 원장이 내놓은 우면동 대림아파트(전용 155㎡·47평형)는 이날 오전 기존 호가 22억원에서 18억원으로 조정됐다.
해당 매물은 오후 계약금 2억원이 입금되며 매매 계약이 성사됐다. 이 원장은 계약금 전액으로 코스피·코스닥 등 국내 주식 지수형 ETF를 매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회 국정감사에서 "실거래가보다 과도하게 높게 책정됐다"는 지적이 나온 지 이틀 만이다.
이 원장은 서초구 우면동에 동일 면적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21일 국정감사에서 그중 한 채를 자녀에게 양도하겠다고 밝혔다가 '아빠 찬스' 논란이 일자 "많은 국민이 주택 문제로 고통을 겪는 시점에 매우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며 사과하고 매각 방침으로 선회했다.
그러나 이 원장이 처분하겠다고 밝힌 아파트의 호가가 22억원으로 확인되면서 재차 논란이 불거졌다. 지난달 해당 단지에서 동일 면적 아파트가 18억원과 18억200만원에 각각 거래된 바 있다.
27일 국정감사에서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 원장이 내놓은 매물 가격은 22억원으로, 한 달 전 실거래가인 18억원 대비 4억원 더 높다"며 "한 달 새 4억원이 오른 셈인데, 10·15 부동산 대책은 실패한 정책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국감에서 "(가격을 조정한 건) 중개인이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번 매물 가격 논란을 두고 야권에서는 비판 수위를 높였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는 지난 28일 자신의 SNS에 "대출규제 등 10·15 주거재앙 조치를 주도한 민주당 정권의 실세 금감원장 이찬진씨조차 집값 오를 거라 예상하고, 이전보다 4억 높게 내놨다"며 "10·15 조치로 집값 내릴 거란 건 '국민 상대로 사기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29일에도 한 전 대표는 "국민에게 집값 내리겠다고 고통분담 요구해놓고 자기 집값은 4억원 올린 금감원장은 당장 내려와야 한다"며 "이 금감원장은 즉시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원장은 2002년 해당 아파트를 부인과 공동 명의로 구입했으며, 2019년 같은 단지 내 동일 면적 아파트를 추가로 매입했다. 이번에 매각된 아파트는 2002년 구입한 것이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star@alphabiz.co.kr)

















